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LG유플러스 “요금인가제 폐지 시기상조”

LG유플러스 “요금인가제 폐지 시기상조”

등록 2014.02.13 18:35

김아연

  기자

공유

LG유플러스가 정부의 요금인가제 폐지 검토 소식에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요금인가제는 통신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무선)과 KT(유선)가 새로운 요금제를 내놓거나 요금을 인상할 때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한 제도다.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아닌 LG유플러스 등은 인가가 아닌 신고를 하도록 돼 있다.

LG유플러스는 13일 “현재 통신시장이 10여년 넘게 변화 없이 5:3:2 시장구도로 고착화돼 있는 상황에서 SK텔레콤은 정부의 인하노력에 의해서만 요금을 인하해 왔을 뿐 스스로 인하한 사례가 없다”며 “후발사업자가 요금 경쟁을 주도해야 시장경쟁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요금 인가제라 하더라도 요금 인하 시에는 신고만 하면 얼마든지 요금인하가 가능함에도 SK텔레콤은 초단위 과금, 발신번호표시 무료화, 기본료 인하 등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노력에 의해서만 요금을 인하해 왔다는 것이 LG유플러스 측의 설명이다.

특히 가입자 규모를 이용한 마케팅 차원에서 경쟁을 왜곡하는 망내 50%할인(2007년), 망내 무료요금제(2013년) 등 자사 가입자를 봉쇄하는 약탈적 요금제만 내놨을 뿐 스스로 요금을 인하한 사례는 없었다고 LG유플러스측은 강조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우리는 mVoIP 전면 허용, 국내최초 망내외 무제한 요금제 도입 등 요금인하를 지속적으로 주도하고 있다”며 “이를 볼 때 후발사업자가 요금경쟁을 주도해야 시장경쟁이 활성화될 수 있고 소비자 후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요금인가제 폐지에 대해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공식 설명자료를 내고 “(인가제 폐지여부에 대해 검토는 하겠지만)현재로서는 폐지를 단정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김아연 기자 csdie@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