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 서울 7℃

  • 인천 8℃

  • 백령 5℃

  • 춘천 5℃

  • 강릉 6℃

  • 청주 7℃

  • 수원 7℃

  • 안동 9℃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8℃

  • 전주 8℃

  • 광주 8℃

  • 목포 8℃

  • 여수 11℃

  • 대구 11℃

  • 울산 11℃

  • 창원 11℃

  • 부산 11℃

  • 제주 10℃

보안업계, 유지보수요율 현실화·기술 혁신으로 불황 벗어나야

보안업계, 유지보수요율 현실화·기술 혁신으로 불황 벗어나야

등록 2014.09.16 14:29

이선영

  기자

공유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지난해 10월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창조과학부 기자실에서 SW 혁신전략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지난해 10월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창조과학부 기자실에서 SW 혁신전략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국내 보안업계가 불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지원과 함께 업체의 기술 혁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안랩, 인포섹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체의 실적이 곤두박질쳤다.

안랩은 상반기 매출액 618억원, 영업이익 5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20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인포섹은 상반기 매출액 443억원, 영업이익 51억원을 기록했는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윈스는 상반기 매출액이 218억원,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5%, 82%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글루시큐리티는 2분기 영업손실이 39억원, 당기순손실은 60억원으로 적자를 기록했으며 파수닷컴은 2분기 영업손실이 4600만 원으로 적자폭을 개선했으나 벗어나지 못했다.

국내 보안시장의 규모가 작고 성장률도 낮다는 점도 보안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국내 보안시장은 2013년 기준으로 1조6000억 규모로 2012년 대비 약 2.5%에 머무른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는 이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SW) 유지보수 요율 현실화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현재 SW유지보수 대가가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유지보수 요율은 해당 SW를 사용하며 개발업체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거나 기능 개선, 보안 패치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한 비용이다. 이 비용은 결국 보안업체들의 수익성과 밀접한 연관이 된다.

지난해 10월 미래창조과학부는 SW혁신전략을 통해 유지보수 요율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8% 수준이던 비용을 10%로 올리고 2015년에는 12%까지 높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SW유지보수 요율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해외업체와의 SW유지보수 요율이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해외업체들은 국내에서 20%대의 유지보수요율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정부가 나서서 관리감독을 하거나 정책을 마련해 업계의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SW유지보수 요율 현실화도 중요하지만 업계도 투자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보안업체들이 기존 방식과 기존 기술을 고수하면서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장은 지난 11일 ‘산·학 정보보호 산업 활성화 포럼’ 기조강연에서 “국내에서 대규모 보안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지만 기업·기관은 보안에 투자를 하지 않고 있는 것이 매우 심각한 문제다”며 “고객이 왜 보안투자를 망설이고 있는지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 보안업계가 새로운 기술 개발에 뒤쳐져 있는 모습을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영 기자 sunzxc@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선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