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2일 토요일

  • 서울 22℃

  • 인천 23℃

  • 백령 23℃

  • 춘천 23℃

  • 강릉 20℃

  • 청주 23℃

  • 수원 23℃

  • 안동 23℃

  • 울릉도 22℃

  • 독도 22℃

  • 대전 24℃

  • 전주 25℃

  • 광주 25℃

  • 목포 24℃

  • 여수 24℃

  • 대구 25℃

  • 울산 24℃

  • 창원 25℃

  • 부산 23℃

  • 제주 22℃

저금리에 몰리는 위안화 예금···금융당국 ‘촉각’

저금리에 몰리는 위안화 예금···금융당국 ‘촉각’

등록 2014.10.06 10:29

손예술

  기자

금융당국 “환율변동성↑, 예금자 보호 안돼 주의해야”

국내 은행들의 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중국 위안화 예금에 돈이 쏠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위안화 예금 액수가 커지면서 소비자나 금융기관의 유동성 위험, 외환거래 위험 등 불안요인은 없는지 금융당국이 모니터링이 강화하고 나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국내 거주자의 위안화 외화예금 잔액은 161억9000만달러로, 1년전(2억9000만달러)보다 무려 56배나 급증했다.

전체 거주자 외화예금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말 0.4%, 작년말 13.7%에서 올해 7월말 25.9%로 높아졌다.

위안화 예금은 국내 예금금리가 3%를 밑돌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공상·농업·중국·건설·교통 등 중국 5대 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는 3.25%로 2% 초중반인 국내 시중은행의 평균금리를 넘는다.

여기에 위안화 강세까지 더해지면서 환차익을 노릴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부상하면서 이를 문의하는 금융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또 위안화 예금은 증권사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등 구조화 상품이 등장하면서 자금은 더욱 모이는 추세다. 위안화 예금의 경우 대개 만기가 1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게 운용되는 ABCP로 단기자금이 모여든 것이다.

ABCP는 증권사들이 국내에서 영업 중인 중국계 은행의 위안화 정기예금에 가입하고 이를 담보로 해서 발행된다. 대개 중국 5대 은행 해외지점 위안화 예금이 기초상품으로 활용된다. 국내에 들어온 대형은행은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중국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커서 위험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8월 한달간 위안화 예금 ABCP는 4조6000억원에 달한다. 금리가 인하된 이후에만 2조8000억원이 유입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현재 위안화 예금규모가 1조원 이상 증권사는 4곳. 2조원대는 NH농협증권, IBK증권, 하이투자증권 등 3곳이다.

최근 금감원은 위안화예금에 대해 위험요인이 없는지 다각적인 사전 평가작업을 벌이고 현재까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안화 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바꾸고 다시 위안화로 환전해 예금하는 형태인데 아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환전할 때 환헤지도 해놨기 때문에 헤지수수료가 들어갈 뿐 위험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감원 측은 지나친 증권업계에 ABCP의 지나친 판촉 활동을 자제하고 불완전 판매가 없도록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밖에도 금융당국은 현재 환율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금융기관과 소비자들의 유동성 문제를 주의깊게 보고 있다. 최근 중국-홍콩 간 정치적 리스크가 환율변동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위안화예금은 예금자보호가 안 돼 은행이 지급불능상태에 빠지면 한푼도 받을 수 없어 금융당국은 소비자들에게 거래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조언했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외환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리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어 위안화 예금 쏠림 현상은 더욱 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고객 안전, 금융기관 유동성 등 측면뿐 아니라 외환 관리 측면에서 나타날 불안요인이 없는지 정밀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필요하면 즉각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예술 기자 kunst@

뉴스웨이 손예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