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중 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한·중 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등록 2015.07.21 15:02

김은경

  기자

공유

코트라,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방향’ 보고서

자료=코트라 제공자료=코트라 제공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분야라는 분석이 나왔다.

코트라는 21일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방향’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중 FTA 기대효과는 관세철폐 효과만 두드러지던 과거 미국이나 유렵연합(EU)와의 FTA와 사뭇 다르다”고 언급했다.

한중 경제관계 특성상 △관세철폐에 따른 가격경쟁력 향상 △비관세장벽 완화에 따른 시장진출 여건 개선 △국제 분업 활성화에 따른 상생발전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가운데 소비재 분야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파악됐다. 업종별로는 관세철폐로 화학(일반 및 정밀화학), 기계 등이, 비관세장벽 완화로 화학, 전기·전자, 자동차부품, 농식품 등 업종의 수혜가 예상됐다.

보고서는 “소비재 효과를 극대화하는 일이 급선무”라면서 “그 동안 중국의 수입관세가 높아 수출이 어려웠던 소비품의 수출을 시도하거나 중간제품 수출을 완제품 수출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통관, 상호인증, 라벨링 등의 비관세장벽 분야의 개선 사항도 활용해야 한다”며 “양국 간 국제분업을 고도화하기 위해 원자재 조달 전환, 역외가공지역(개성공단) 등 원산지 관리와 활용 방안을 잘 찾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전기·전자 분야도 수출산업화, 공정변경을 통해 관세철폐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며 “원산지 관리에서는 양국 FTA 네트워크 활용, 원자재 조달 역내전환, 역외가공지역(OPZ) 내 생산 등을 시도할 수 있다”고 했다.

박한진 코트라 중국사업단장은 “한중 FTA의 성공 여부는 관세, 비관세장벽, 양국 간 분업 등 다양한 기회를 적절하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업종별 한중 FTA 활용전력을 짜는 동시에 품목별 한중 FTA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cr21@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