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KB금융 윤종규, 김옥찬 사장 기용 노림수 있다

KB금융 윤종규, 김옥찬 사장 기용 노림수 있다

등록 2015.10.20 08:51

박종준

  기자

공유

대우증권 인수전 등 다목적 포석 깔린 듯

KB금융 윤종규, 김옥찬 사장 기용 노림수 있다 기사의 사진


윤종규(사진) KB금융지주 회장이 은행장 분리 대신 사장직을 신설, 김옥찬 카드를 꺼내 들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KB금융지주는 19일 지배구조위원회를 열고 김옥찬 현 SGI서울보증 대표이사를 KB금융지주 사장 후보로 단독 추천했다.

윤 회장이 이번에 김 사장을 전격 기용한 표면적인 이유는 지난 2008년 지주 출범 때 약속한 ‘원-펌(‘One-Firm) 플랜’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윤 회장 자신과 투톱 체제로 ‘원-펌(‘One-Firm) 플랜’ 운용체계를 진두지휘할 적임자로 지난 1982년부터 30년 간 KB국민은행 등에 몸담은 전력의 김 사장을 낙점한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사장직 부활은 2년 만으로 KB금융의 현안이자 숙원인 KDB대우증권 인수라는 또다른 의미로 해석했다. 대우증권은 상징성이 큰 만큼 윤 회장이 자신과 함께 역할 분담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KB가 대우증권 인수했을 경우에도 그동안 보험과 국제금융 등 다양한 이력의 소유자인 김 사장은 비은행 부문 강화를 통한 ‘리딩뱅크’를 꿈꾸는 윤 회장에게는 천군만마나 다름 없다.

또한 계좌이동제 등으로 최근 변화무쌍한 금융환경에서 공을 들이고 있는 복합점포 운용 등에서도 활약이 기대된다. 실제로 서울보증사장 재직시 우리은행 위비뱅크 출범의 조력자 역할을 했던 김 사장이 KB금융에게는 구원투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옥찬 카드는 당장 은행장과 회장 분리가 당장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은행과 지주를 연결시켜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도 깔려 있다. 윤 회장은 다목적 포석으로 KB금융의 은행장과 회장 분리를 위한 전 단계로 김옥찬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KB금융지주는 “이번 사장 선임으로 KB손해보험 편입 관련 PMI 추진, 증권사 인수 추진 등 KB금융의 비은행 계열사 강화 전략이 한층 더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종준 기자 junpark@

뉴스웨이 박종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