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 수혜 오너 리스크 불안 증폭‘엄단’ 원칙 지키되 내수 영향 감안해야다음 차례는 누구···마음 졸이는 재계
당초에는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장녀인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사이의 개인 비리 관련 수사에서 멈출 것으로 보였지만 검찰 수사의 폭이 롯데그룹 계열사 전반으로 크게 확산되면서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말았다.
재계 일각에서는 롯데그룹을 필두로 시작된 박근혜 정부의 정권 말기 대(對)기업 사정 활동이 자칫 재계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갖고 롯데그룹에 대한 수사 과정을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
롯데그룹에 대한 이번 검찰 수사는 롯데의 여러 경영 현안 속에 문제가 많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촉발된 신동주-신동빈 형제의 갈등에서부터 ‘일본기업’ 논란과 각종 부정 로비 문제 등이 한 순간에 봇물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검찰 수사의 배경으로는 지난해부터 계속 되고 있는 신동주-신동빈 형제의 지리멸렬한 갈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긴 갈등 과정에서 롯데 내부의 치부가 적잖게 드러났고 이 과정에서 탈법적 요소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검찰이 칼을 댄 셈이다.
검찰이 이번 수사를 통해 풀고자 하는 의혹의 초점은 롯데그룹 오너 일가와 주요 임원을 포함한 경영진의 비자금 조성과 배임, 횡령 등이다.
검찰은 롯데 오너 일가가 비자금 조성에 직접 관여한 것으로 보고 신 총괄회장과 신 회장의 집무실과 자택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기업인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은 지난 2008년 삼성 비자금 사태 당시 서울 이태원동 승지원 압수수색 이후 8년 만이었다.
수사가 본격화된 이후 여러 의혹의 실체가 선명하게 드러났다. 롯데쇼핑의 중국 사업 투자 과정에서 신동빈 회장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정황이 포착됐고 롯데케미칼의 원료 수입 과정에서도 일부 자금이 중간에 사라진 뒤 신 회장에게 전해졌다고도 보고 있다.
여기에 백화점 신규 사업자 선정, 신격호 총괄회장과 계열사 간의 부동산 부정 거래, 제2롯데월드 건립 과정에서 정·관계를 상대로 벌인 각종 불법 로비 행위 등도 전방위적으로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들 의혹에 대한 상당 부분 사실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울러 롯데그룹이 성장할 수 있는 대표적 동력 중 하나인 공격적 M&A 활동의 경과과 배경 등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검찰은 6월 중 오너 일가 중 처음으로 신영자 이사장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친 뒤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 이후 신동빈 회장이 귀국하는 대로 신 회장에 대해서도 직접 조사해 그룹 안팎의 각종 의혹들을 상세히 수사할 계획이다.
◇불안 커지는 재계 “혹시 우리도?” = 롯데에 대한 검찰 수사가 초고강도로 전개되면서 재계의 불안감은 갈수록 커치고 있다. 말기에 접어든 박근혜 정부가 안정적 정권 마무리를 위해 사정당국의 칼날을 롯데 이후 다른 기업으로 겨눌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재계 내에서는 롯데와 M&A 관련 거래를 했던 기업이나 오너 리스크에 빠진 기업들이 깊은 걱정에 빠져 있다. 무엇보다 이번 롯데 수사가 세부 계열사의 경영 상태보다는 오너 개인의 비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오너 리스크를 안고 있는 기업의 우려가 가장 크다.
일각에서는 이번 정부의 사정 코드가 전 정부인 이명박 정부 시절 비리를 캐내 박근혜 정부의 숨통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보고 이명박 정부 당시부터 고속 성장을 거듭한 기업들이 다음 수사선상에 오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재계 안팎에서는 사정당국의 고강도 사정에 대해 어느 정도 일어날 수 있던 일이라고 말하면서도 ‘선을 지키는 수사’가 이뤄지길 바라고 있다. 기업의 불법행위는 따끔히 처단하면서도 경제 살리기의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는 뜻이다.
대(對)기업 사정 활동이 장기화되면 기업의 성장은 바로 멈춘다. 실제로 롯데그룹은 호텔롯데 상장 등을 통해 기업 문화의 혁신과 이익의 사회 환원이라는 계획을 추진했지만 이번 사정으로 모든 것이 사실상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수도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올바른 경제 정의 실천을 위한 사정 활동에는 적극 공감하지만 사정의 초점이 비뚤어지면 사정 대상이 되는 기업은 물론 그 기업과 연관된 다른 기업은 죽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비뚤어진 사정 활동 때문에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쓰러진 수많은 기업의 사례를 감안해 내수 경제를 살리고 정의를 실천하는 사정 활동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ndrew.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