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인지도도 미약해강남 등서 설자리 잃어가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8·2부동산 대책으로 수요자들의 심리가 위축되면서 주택시장이 냉각되고 관망세가 뚜렷해지는 양상이다. 특히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크게 꺽였다. 부동산 114 조사결과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3% 상승했지만 지난달 1.5% 오른 것에 비해 0.97%포인트 가량 둔화된 것이다.
‘불패신화’로 불리던 부동산 시장 전망도 악화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7년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년후 주택가격전망 CSI는 99로, 5개월 만에 100을 밑돌았다. 이는 전월보다 16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2013년 1월 이래 최대 하락폭이다.
이때문에 업계에선 주택 사업 위주의 중견·중소 규모 건설사의 경우 시장 위축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견·중소 건설사는 토목, 민간건축 등 다양한 사업을 하는 대형 종합건설업체들에 비해 사업 포트폴리오도 단순하고, 자금 조달 능력면에서도 취약해 출구 전략 마련을 위해 비상이 걸리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중견건설사들의 속앓이는 정비사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서울 강남권 주요 사업지에서 시공사 입찰자격조건으로 컨소시엄 금지를 내거는 경우가 다반사기 때문이다. 안그래도 중견건설사가 서울 재건축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기는 브랜드 인지도 등 측면에서 어려워 시장 입성을 위해서 대형건설사 등과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하면서 물량 학보와 함께 시공 능력 경험을 쌓고 있었는데 사업지의 이같은 추세와 맞물려 중견 건설사가 설자리가 더욱 없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이같은 분위기는 서울뿐만 아니라 지방까지 번지고 있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부산 시민공원주변 촉진 3구역은 공동시공 금지(단일 브랜드 단독 입찰)를 입찰 조건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입찰에는 롯데건설, SK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대형건설사 3곳만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후분양제 도입 논란도 중견건설사들을 위협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선 건설사의 부실시공 등 선분양제의 잇따른 부작용이 나타나자 후분양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부실시공과 투지, 과도한 시세차익 등 선분양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후분양제 도입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다만 주택사업이 후분양제로 전환되면 건설사들은 그동안 소비자들에게 받았던 선분양 자금을 금융권에서 조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자금력이 충분한 일부 대형건설사만 주택 공급이 가능해지는 등 상대적으로 자금력에서 취약한 중견·중소 건설사들은 힘들어 질 수밖에 없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주택 시장이 기본적으로 좀 안 좋더라도 대형건설사들은 SOC나 해외사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가 잘 돼 있어 버틸 여력이 있지만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주택 하나만 하는 경우가 많이 경기가 위축되면 타격이 크다”면서 “서민들이나 중산층 직장인들이 많은 등 국민 경제에 영향이 큰 중소·중견 기업이 급속히 죽으면 안되기 때문에 도시재생이라던지 소규모 사업에 중소·중견 건설사의 터전을 마련해주는 등 사회적 배려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보미 기자
lbm929@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