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센터장 고준 교수)는 지난 22일 융합인재교육원 세미나실에서 관련업체 전문가를 초빙해 인공지능(AI) 면접특강을 가졌다.
또 나주 혁신도시 공공기관들과 은행권에서 AI 채용시스템을 속속 도입하고 있는 흐름을 맞춰 앞으로 취입, 진로 지도 담당 교직원은 물론 면접을 앞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AI 관련 특강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설 등 본격적인 AI 면접시대에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AI 면접은 질문에 대한 지원자의 답변과정에서의 표정과 움직임, 지원자의 음색과 음높이, 음 크기 분석, 어휘분석, 심장박동에 따른 맥박, 안면색상 분석에 이르기까지 외면적 요소를 분석하게 된다.
또 지원자의 내면적 요소를 안와 전전두 피질, 배내측 전전두 피질 등 6가지 요소로 분석해 지원자를 가치형과 전략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면접진행의 형태와 내용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뇌신경과학에 기반한 AI면접관 앞에서 구직자들이 게임형식의 문제를 풀도록 함으로써 지원자의 내면특성과 호감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 각 기업이나 기관별로 추구하는 선발하는 인재상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함에 따라 도전형 인재(risk-taker 위험감수자)를 가려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자기소개서의 진실성 여부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자가 은행을 지원할 때 썼던 자기소개서를 다른 기업 지원에 베껴 썼을 경우, 문장 중에 ‘행원’이란 단어가 들어갈 수가 있는데, 이같은 무성의한 지원자를 단번에 골라낼 수 있다는 것이다.
AI면접은 수만건의 서류검토와 인.적성검사 운영비용 등 많은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소설같은 자기소개서와 스펙위주의 평가, 면접관 마다 다른 평가기준 등 인재선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으로, 향후 사회적 합의와 신뢰가 쌓인다면 도입 및 확산은 더 빨라질 전망이다.
고준 전남대 대학일자리센터장은 “우리 대학 졸업생들이 겨냥하고 있는 공공기관들과 은행권에서 특히 AI 채용시스템 도입추세가 두드러짐에 따라 인공지능(AI) 면접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등 대책마련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강기운 기자
kangkiun@naver.co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