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내년에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를 평균 9% 내외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일명 ‘문재인 케어’ 시행 이후 비급여 의료비가 증가하는 풍선효과로 최고 20%대 인상이 예상됐으나, 금융당국의 인상률 완화 압박에 한 자릿수 인상률로 낮췄다.
다만, 실손보험의 종류에 따라 인상률에 차이가 있다.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된 표준화 이전 실손(이른바 구 실손), 2009년 10월∼2017년 3월에 팔린 표준화 실손, 2017년 4월부터 판매된 착한 실손(신 실손) 등 3종류로 나뉜다.
이중 신 실손보험은 내년에 보험료가 1% 가량 내린다. 판매된 지 얼마 안 돼 보험금 청구가 많지 않을 뿐 아니라 상품 자체도 보험금이 많이 발생하지 않게 설계돼 손해율이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반면 표준화 실손보험은 내년에 보험료가 대부분 10% 남짓 오른다. 구 실손보험은 내년 4월에 보험료가 인상되며 이 역시 10%대 인상이 유력하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표준화 실손보험이나 구 실손보험에 가입돼 있기 때문에 체감 인상률은 두자리수가 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현재 실손보험 계약 건수는 3396만건으로 이 가운데 구 실손이 1005만건, 표준화 실손이 2140만건으로 전체 실손보험의 92.6%를 차지한다. 신 실손보험 계약은 237만건으로 7.0%에 그친다.
실손보험 평균 인상률을 한 자릿수로 하라는 것이 금융당국의 주문사항이므로 이론적으로 구 실손과 표준화 실손보험의 보험료를 10%대까지 올릴 수 있다. 또 이 수치는 평균이어서 실제 고객별 인상률은 10%를 훌쩍 넘을 가능성이 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j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