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개점휴업’ 케이뱅크, 1년 만에 6000억 수혈 추진···‘우회로’ 찾았나

‘개점휴업’ 케이뱅크, 1년 만에 6000억 수혈 추진···‘우회로’ 찾았나

등록 2020.04.07 14:21

차재서

  기자

공유

이사회서 ‘6000억 유상증자’ 결의 증자 후 자본금 1조1000억원으로특례법 개정 불투명···KT 역할은?BC카드 중심 ‘우회증자’ 가능성도

이문환 케이뱅크 행장 사진=케이뱅크 제공이문환 케이뱅크 행장 사진=케이뱅크 제공

이문환 신임 케이뱅크 대표가 취임과 동시에 6000억원의 자금 수혈을 추진한다. 연이은 자본 확충 불발로 위기에 빠진 은행을 건지기 위함이다. 그러나 ‘인터넷은행 특례법’이 개정되지 않은 현 시점엔 KT 등 주요 주주의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어떤 방식으로 활로를 모색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7일 케이뱅크는 전날 이사회를 열어 신주 약 1억1898만주를 발행하는 5949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는 일단 지분율에 따라 주주에게 신주를 발행하고 실권주가 발생하면 KT(10%)와 우리은행(13.79%), NH투자증권(10%) 등 주요 주주사가 이를 나눠서 인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계획대로 증자(주금납입일 6월18일)가 마무리되면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5051억원에서 약 1조1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케이뱅크의 대규모 자본 확충 시도는 약 1년 만이다. 이들은 지난해에도 5900억원의 유상증자를 계획했으나 주주간 이견으로 거듭 지연·축소됐고 결국 276억원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은산분리 문턱을 낮춘 ‘인터넷은행 특례법’ 시행과 맞물려 최대주주에 오르려던 KT가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에 휘말린 탓이다. 여기에 대주주 자격 완화를 골자로 하는 인터넷은행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무산되자 은행 내 긴장감이 한껏 고조된 상황이었다.

그런 케이뱅크의 증자 추진은 더 이상 은행을 방치할 수 없다는 이문환 신임 대표와 주주간 공감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케이뱅크는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 등 주력 상품의 판매를 중단한 채 ‘개점휴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국내 19개 은행 중 가장 낮은 10.88%(작년말 기준)로 떨어졌고, 연간 기준 당기순손실은 1007억7300만원으로 늘었다. 올해도 증자에 실패한다면 BIS 비율이 10% 아래로 추락해 금융당국의 관리 대상에 오를 수 있다.

관건은 케이뱅크 주주가 어떻게 책임을 분담하느냐다. 주주마다 생각이 달라 이번에도 실권주 발생이 불가피하지만 KT의 지분 확보는 여전히 제한적인 상태라서다. 과거처럼 우선주를 발행하기도 어렵다. 케이뱅크 정관에서 우선주 발행한도를 총 발행주식 수의 25%로 규정하고 있어 앞선 증자로 한계치에 도달했다.

아울러 국회가 총선 후 인터넷은행법 개정안을 다시 논의하겠다고 약속해 상황이 뒤바뀔 여지는 있으나 ‘KT 특혜’ 논란이 시들지 않아 낙담하긴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케이뱅크가 ‘우회증자’ 방안을 택할지 주목하고 있다. 이는 KT가 보유한 케이뱅크 지분 10%를 계열사인 BC카드나 KT에스테이트, KT DS 등이 넘겨받고 향후 증자를 주도하는 시나리오다. 카카오뱅크 최대주주였던 한국투자금융지주도 카카오가 한도초과보유 심사 통과를 통과하자 은행 지분 29%를 한국투자밸류운용에 넘긴 바 있다.

다만 케이뱅크 측은 주금납입일까지 시간이 남았고 개정안이 통과될 여지도 있는 만큼 국회의 움직임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케이뱅크 주주사 관계자는 “우선 각 주주가 지분율대로 참여하는 방향으로 증자를 추진하고 실권주 등은 추후에 논의할 것”이라며 “특례법 개정으로 KT가 직접 증자를 주도하는 시나리오 역시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