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7월 신혼부부 위한 ‘40년 만기 모기지’ 출시···세대당 3억6000만원까지”

“7월 신혼부부 위한 ‘40년 만기 모기지’ 출시···세대당 3억6000만원까지”

등록 2021.06.20 12:00

차재서

  기자

공유

청년 전월세 대출 한도는 ‘1억원’으로 전세대출·전세금반환보증 보증료 인하

사진=금융위원회 제공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오는 7월부터 청년과 신혼부부는 40년 만기의 초장기 정책모기지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보금자리론의 세대당 대출 한도도 3억6000만원으로 늘어난다.

20일 금융위원회는 서민·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을 돕고자 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와 전세대출 보증상품의 요건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먼저 금융위는 만 39세 이하 청년과 혼인 7년 이내의 신혼부부에게 40년 만기 고정금리인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소득이 많지 않은 청년가구는 만기를 연장함으로써 매월 원리금 상환부담을 덜고, 3년 이후부터 목돈이 생기면 수수료 없이 원금을 더 빨리 상환할 수도 있다.

금융위는 보금자리론의 세대당 최대 대출한도도 현행 3억원에서 3억6000만원(최대 LTV 70%)으로 확대했다. 자금이 부족한 세대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는 취지에서다.

보금자리론은 집값 6억원, 소득 7000만원 이하 가구에 제공되는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이다. 가령 5억원 규모의 주택을 구매하려는 신혼부부는 보금자리론을 3억50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만기를 40년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시에 금융위는 청년 전월세 대출의 1인당 한도를 1억원으로 확대했다. 이는 만 34세 이하 청년에게 2%대 금리로 7000만원 이하의 보증금, 월 50만원 이하의 월세를 지원하는 상품이다.

이번 조치로 연간 약 5000명(총 4000억원 규모)의 청년이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금융위는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금융위는 최근 사고율 감소 등을 반영해 전세대출과 전세금반환보증의 보증료를 인하했다. 청년 맞춤형 전월세와 취약계층 특례보증 등에 적용되는 최저 보증료를 기존 0.05%에서 0.02%로 낮춘 게 대표적이다.

이번 개선사항은 7월1일 대출 신청분부터 적용된다. 청년전월세대출은 전국 14개 은행은 물론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초장기모기지 상품이 민간 부문에서도 도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하반기 중 지속 검토·논의하겠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