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지난해 수입차 점유율 '역대 최대'···경유차는 전동화車에 첫 역전

산업 자동차

지난해 수입차 점유율 '역대 최대'···경유차는 전동화車에 첫 역전

등록 2023.02.09 14:48

수정 2023.02.09 15:00

박경보

  기자

공유

신규등록대수 8년 만에 최저치···반도체 공급난 영향전체 시장은 줄었지만 '비싼 차' 선호 현상은 뚜렷급격한 전동화 전환 속 중국산 전기차 급증에 '우려'

지난해 수입차 점유율 '역대 최대'···경유차는 전동화車에 첫 역전 기사의 사진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신규등록대수는 2014년 이후 가장 적었지만 수입차는 역대 최대 점유율을 달성했다. 특히 경유차가 전동화(하이브리드 포함) 모델에 처음으로 역전당하는 등 국내 자동차 시장은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9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신규등록대수는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출고 지연의 여파로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신규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2.9% 감소한 168만대에 그쳤다.

전체 자동차 시장은 줄었지만 수입차의 점유율은 국내 시장 진출 이후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지난해 수입차는 31만1000대가 판매돼 18.5%에 달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고급차 선호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수입차의 취득금액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24조3270억원에 달했다.

국산차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3.7% 감소한 137만2000대로 집계됐다. 다만 취득금액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3.9% 증가한 49조2430억원을 기록했다. 수입차와 마찬가지로 고급차, 전기차, SUV 등 고수익 모델의 판매량이 늘어난 결과다.

지난해 수입차 점유율 '역대 최대'···경유차는 전동화車에 첫 역전 기사의 사진

하이브리드(플러그인·마일드HEV 포함), 전기차 등 전동화 모델은 전년 대비 28.7% 증가한 44만8000대가 판매되며 26.7%에 달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는 63.7% 늘어난 16만4000대가 판매돼 1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9.8%)을 달성했다. 하이브리드차도 27만4000대를 기록하며 16.3%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반면 경유차는 전년 대비 19.8% 감소한 33만3000대에 그쳐 처음으로 전동화 모델보다 덜 팔렸다. 최근 5년 새 경유차의 점유율은 절반 이하로 축소됐는데, 이는 승용차뿐 아니라 상용차에서도 전동화 전환이 가속화됐기 때문이다.

수입차는 독일계 고급브랜드와 중국산 전기차 중심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해 31만1000대가 판매됐다. 주요 브랜드 중에서는 독일계 브랜드만 7.7%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였고, 주요 원산지별로는 독일산과 중국산이 각각 7.8%와 154.5%씩 늘었다.

특히 중국산 수입차는 전기차를 중심으로 603.5%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산 전기차는 유럽 브랜드의 전기 승용차 모델 등이 추가되면서 전년 대비 154.5% 증가한 1만2000대를 기록했다. 중국산 전기차의 연간 판매량이 1만대를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강남훈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수요 급감 대비를 위한 노후 자동차 교체지원 등 내수 부양책 확대가 필요하다"며 "경유차 등 내연기관차의 전동화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전기상용차의 국산 비중이 정체돼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산 전기차의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국내 산업기반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 세액공제 확대 등 전기차 투자 활성화 및 자동차산업의 원활한 사업전환을 위한 미래차 특별법의 제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