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오피니언 단통법 폐지와 통신 CEO의 역할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임재덕의 it잖아

단통법 폐지와 통신 CEO의 역할

등록 2024.12.03 10:37

수정 2024.12.03 10:41

임재덕

  기자

공유

김영섭 KT 대표이사는 지난해 9월 취임하고 첫 공식 행사 연단(演壇)에 올라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 제공에만 안주해 빅테크들에 디지털 생태계를 내주는 결과를 야기했다"고 전 세계 텔코(Telco·통신사)를 꾸짖었다.

텔코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연결·connectivity)는 인터넷 포털·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인터넷 서비스 근간이라 외부 기업보다 더 잘할 수 있음에도, 왜 드라이브 걸지 않았느냐는 메시지였다. 김 대표가 직전 8년간 LG CNS에서 근무하며, 정보기술(IT) 트렌드를 몸소 겪었기에 던질 수 있던 화두였다.

김 대표는 곧장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IT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했고, 최근 글로벌 AI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낸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하는 성과를 냈다.

반면 본업인 통신 사업에는 다소 소홀했다는 평가다. 일례로 김 대표 재임 기간, 시장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와 격차가 많이 줄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을 보면 지난 9월 두 회사의 휴대폰 회선 점유율 격차는 2.58%포인트(P)로, 1년 전(4.48%P)과 비교하면 약 2%P가량 좁혀졌다. 모객을 위한 마케팅 비용을 크게 집행하지 않은 여파로 해석된다.

이런 분위기는 앞으로 LG유플러스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 LG유플러스 이사회는 최근 황현식 대표 대신 홍범식 LG 경영전략부문장(사장)을 새로운 리더십으로 앉히기로 했다. 25년간 통신 외길을 걸어온 황 대표와 달리, 홍 사장은 글로벌 전략 신사업 전략 수립과 투자에 두각을 나타낸 '전략통'이다.

황 대표가 통신 사업에서 낸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연임에 성공한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는 LG유플러스도 통신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AI로 체질 전환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경우 통신사 간 마케팅 경쟁은 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통신 전문가인 SK텔레콤 유영상 대표이사가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경쟁자가 없는 시장에 경쟁이란 있을 수 없다. 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해 국민 가계통신비 부담을 덜겠다는 정부의 정책도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 폐지에 따른 '후폭풍'에 대해서도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정부는 단통법의 순기능인 '선택약정할인 제도'는 전기통신사업법으로 이관해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지원금 공시제도 및 추가 지원금(현행 공시지원금의 최대 15%)과 가입 유형·요금제에 따른 지원금 차별 금지는 폐지한다.

이 가운데 지원금 차별 조항은 일부 유지하는 방향이 돼야 한다. 단통법이 시행되기 전을 돌아보면, 통신사들은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고자 자사 고객을 늘릴 수 있는 '번호이동'(통신사 변경)과 수익성이 높은 '고가 요금제'에만 지원금을 높게 책정하는 일이 많았다. 이는 결국 단통법 탄생의 근거가 됐다. 지원금 경쟁이 죽은 시장에서 이런 일이 재현된다면 결국 피해는 소비자인 국민의 몫이 될 터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