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네이버, 딸기행사도 판다...'체험' 카테고리 만들고 수수료 부과

IT 인터넷·플랫폼

네이버, 딸기행사도 판다...'체험' 카테고리 만들고 수수료 부과

등록 2025.04.17 14:54

임재덕

  기자

공유

예약만 받던 '프로그램' 상품 5월부터 판매 중계수수료 4% 부과, 3.5만원 2인 결제시 2800원플랫폼 경쟁력 활용 '수익 극대화' 전략 일환

네이버가 조만간 딸기농장·공방체험, 원데이클래스, 액티비티 등의 입장권(상품)을 판매한다. 이 과정에서 건당 결제금액의 4%를 수수료로 받는다. 그동안 예약만 받던 비즈니스 모델(BM)을 판매까지 확대하는 '수익화'에 나서는 것이다.

네이버가 다음 달부터 딸기농장·공방체험, 원데이클래스, 액티비티 등의 입장권(상품)을 판매한다. 그래픽=이찬희 기자네이버가 다음 달부터 딸기농장·공방체험, 원데이클래스, 액티비티 등의 입장권(상품)을 판매한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17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내달 15일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도입한다. 검색창에 서울장미축제나 도예 원데이클래스 등을 입력하면, 날짜별로 예약부터 결제까지 할 수 있게 된다. 지난해 11월 베타서비스를 진행한 뒤 "이용자 근처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노출돼 잠재 고객을 타깃하기 쉽다"는 등 호평을 받자, 정식 서비스화에 나서게 됐다.

네이버 관계자는 "체험, 클래스, 액티비티와 같이 장소보다는 프로그램 자체를 강조하고 싶은 사업자를 위해 프로그램 상품을 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프로그램 상품은 ▲자연체험 ▲미술·공예 ▲영어체험 ▲직업교육 ▲스포츠 레슨 ▲액티비티 ▲요리 ▲역사체험 ▲공연·예술 강연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다. 사업자가 등록한 프로그램 상품은 네이버 검색 결과의 '프로그램' 컬렉션에 별도로 노출된다.

네이버는 오는 6월 5일부터 '장소' 검색 시 해당 위치의 프로그램이 노출되는 방식의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사업자들은 여행객의 검색 페이지에 상품이 추가 노출돼 매출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는 프로그램 상품 판매를 중계해 매출을 늘릴 수 있다. 상품 등록 비용은 받지 않지만, 이용자가 예약한 프로그램 결제금액의 4%(부가세 별도)를 판매수수료로 징수한다. 일례로 참가비가 3만5000원인 도예 원데이 클래스 공방 체험을 연인(2명)이 이용한다면 1400원씩 총 2800원을 업체로부터 받게 되는 셈이다.

또 네이버페이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페이 관리 수수료를 업체 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된다. 네이버 '프로그램'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네이버페이 가입이 필수이므로 여기서 오는 부가 수익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페이 관리 수수료로 ▲연매출 3억원 이하 영세업체에는 1.80% ▲3~5억원인 중소기업에는 2.35% ▲5~10억원인 중소기업에는 2.50% ▲10~30억원인 중소기업에는 2.75% ▲30억원 이상인 기업에는 2.90%을 결제금액에서 계산해 받는다.

네이버가 5월 도입하는 프로그램 상품. 사진=네이버 제공네이버가 5월 도입하는 프로그램 상품.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의 핵심 사업인 '검색' 기반 매출은 더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회사는 지난해 4분기 서치플랫폼 분야에서만 1조원이 넘는 매출(1조647억원)을 냈다. 1년 전 9283억원의 매출을 내고 매 분기 성장을 거듭한 결과다.

국내 포털업계를 주름잡는 만큼 플레이스(점포) 광고가 많이 늘어난 덕을 봤다는 평가다. 더 나아가 행사(프로그램) 위주의 판매 중계 사업을 확대하면서 수익 기반을 더 탄탄하게 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는 최근 지도 앱을 비롯해 강력한 플랫폼 파워를 활용한 수익화 전략에 나서고 있다"면서 "특히 강력한 포털 점유율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은 계속해서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