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지난달 27일 日 행정지도 받아1년 만에 다시 개인정보 관련 유출 발생학계 "경영 문제 언급할 수도···지속 간섭할 듯"
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본 총무성은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에게 전기통신사업법이 규정한 '통신의 비밀'과 관련해 철저한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행정지도 문서를 보냈다. 이는 지난해 11월 라인 앱 내 앨범 기능에서 본인 사진이 아닌 다른 사람 사진이 표시되는 일이 벌어진 데 따른 조치다.
일본 안팎에서 약 13만5000명이 해당 오류를 경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류 원인은 사진 처리 시스템을 갱신하는 프로그램의 문제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총무성은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전기통신사업에 대한 신뢰가 크게 손상됐다"고 지적했다.
행정지도를 받은 라인야후 측은 "행정 지침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지침의 내용을 포함해 재발 및 피해 확산 방지 대책을 철저히 하고, 이용자 및 관계자가 안심하고 당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는 성명을 냈다.
또다시 개인정보 관련 유출 문제가 일어나자 일본 정부가 자국 내 국민 메신저로 통하는 라인 경영권을 외국 기업인 네이버가 갖고 있는 것에 불만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결국 다시 경영권을 일본 기업에 내놓으라는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는 얘기다.
앞서 지난해 3월과 4월 라인야후는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를 받은 바 있다. 2023년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으로 일부 내부 시스템을 공유하던 라인야후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자 이에 총무성은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을 요구한 것이다.
당시에도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로 해석돼 이슈가 커졌고, 네이버는 라인야후 지주사 'A홀딩스' 지분 절반을 보유 중인 일본의 소프트뱅크와 여러 논의 끝에 지분 매각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네이버와 네이버클라우드에 대한 서비스·개발 등 위탁 업무는 올해 말까지 종료하고, 네이버 기타 그룹사에 대한 위탁은 올해 3월 말까지 종료하는 것을 약속했다.
학계도 이런 분석에 힘을 더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행정지도는 일본에서 견제할 수 있는 카드"라면서 "개인정보 유출이 1년 만에 또 발생하면서 경영에 문제가 있다는 시나리오로 압박을 계속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라인은 일본에서 네트워크가 강력한 소셜미디어인데, 이를 능가할 소셜미디어가 등장하기는 아직 어렵다"며 "최근 국내 데이터를 국내에 보관하는 소버린 인공지능(AI)가 주목받으면서 일본도 마찬가지로 관심을 갖고 있을 텐데 라인 같은 외국계 기업을 둔 소셜미디어가 국내를 장악하면, 데이터를 학습하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 차례 행정지도를 내리는 것 역시 경영권 관련 외에 기업의 데이터를 통제하고 데이터를 운용, 활용하고 싶기에 지속적으로 간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