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28일 월요일

  • 서울 10℃

  • 인천 9℃

  • 백령 9℃

  • 춘천 8℃

  • 강릉 15℃

  • 청주 10℃

  • 수원 11℃

  • 안동 9℃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1℃

  • 전주 13℃

  • 광주 13℃

  • 목포 13℃

  • 여수 16℃

  • 대구 15℃

  • 울산 16℃

  • 창원 16℃

  • 부산 16℃

  • 제주 14℃

금융 경기 침체에 은행 경고등···연체율 10년 만에 최고, 부실채권 12조 돌파

금융 은행

경기 침체에 은행 경고등···연체율 10년 만에 최고, 부실채권 12조 돌파

등록 2025.04.27 10:41

박새롬

  기자

공유

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은행권 대출 부실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연체율은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부실채권(NPL) 규모는 사상 처음 12조원을 넘어섰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올해 1분기 말 전체 연체율은 평균 0.41%로, 지난해 말 0.34%보다 0.07%p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의 연체율은 0.35%, 신한은행은 0.34%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06%p, 0.07%p 올랐다. 우리은행도 기업 대출 중심으로 연체율이 0.43%로 상승했고, NH농협은행은 기업 연체율이 0.84%까지 치솟았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연체율은 각각 0.28%와 0.40%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2017년 1분기 0.51% 이후 8년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부실이 뚜렷했다. 중소기업 연체율은 0.5%로 3개월 사이 0.1% 상승하면서 같은 기간 2015년 0.22%p 오른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0.50%, 신한은행은 0.49%로 각각 상승해 8~9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NPL도 급격히 늘고 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분기 말 NPL 규모는 12조6150억원으로 작년 9조1270억원보다 27.7%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NPL은 1분기 석 달 동안에만 1조7440억원이 급증하는 등 통상적으로 연초에 부실채권이 감소하는 흐름과 달리 이례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5대 은행의 1분기 말 가계·기업·전체 NPL 비율도 단순 평균 기준으로 한 분기 만에 각각 0.04%p, 0.07%p, 0.05%p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의 기업 NPL 비율은 0.56%로 2019년 3분기(0.57%) 이후 가장 높아졌고 전 분기 대비 상승 폭(0.12%p) 역시 2015년 이후 최대였다.

우리은행의 전체 NPL 비율도 0.23%에서 0.32%로 올라 2020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상승 폭은 약 12년 만에 가장 컸다.

은행권은 분할상환 유도, 부실 조기 관리 강화 등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미국발 관세 압박까지 현실화되면 추가 부실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