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서울 29℃

인천 29℃

백령 26℃

춘천 28℃

강릉 23℃

청주 30℃

수원 29℃

안동 28℃

울릉도 26℃

독도 26℃

대전 30℃

전주 31℃

광주 32℃

목포 31℃

여수 32℃

대구 33℃

울산 30℃

창원 33℃

부산 31℃

제주 30℃

부동산 '나토 목걸이' 파문··· 서희건설 장녀 승계, 다시 안갯속

부동산 건설사

'나토 목걸이' 파문··· 서희건설 장녀 승계, 다시 안갯속

등록 2025.09.04 13:42

주현철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된 6200만원 상당 목걸이 논란이 서희건설 후계 구도에 직격탄

이봉관 회장 사위의 정부 요직 청탁 정황까지 드러나며 논란 확산

현재 상황은

장녀 이은희 부사장, 후계 1순위였으나 사위 리스크로 입지 흔들림

차녀, 막내도 각자 사업 부문에서 존재감 키우며 후계 경쟁 본격화 조짐

숫자 읽기

서희건설 실질 오너 일가 지분 37% 수준

유성티앤에스가 29.05% 보유, 한일자산관리앤투자가 31.89%로 최대주주

애플이엔씨가 최근 서희건설 지분 11.91%까지 확보

맏사위 인사청탁에 후계 구도 흔들···차녀·막내 '부상'복잡한 순환출자 구조 속 오너 일가 실질 지분 37%승계 열쇠는 유한회사 '애플이엔씨'

나토 순방 목걸이(매관매직) 의혹에 연루된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WEST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에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나토 순방 목걸이(매관매직) 의혹에 연루된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WEST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에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나토(NATO) 정상회의 순방 당시 김건희 여사가 착용한 6200만원 상당의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 이 고가 사치품이 서희건설 창업주 이봉관 회장을 통해 건너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단순한 로비 의혹을 넘어 경영권 승계 문제로 불똥이 튀고 있다. 선물 전달과 함께 이 회장이 사위의 정부 요직 기용을 청탁한 정황까지 드러나며 후계자로 사실상 낙점됐던 장녀 이은희 부사장의 입지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재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검사 출신인 박성근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이 부사장의 배우자다. 박 전 실장은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매관매직' 의혹의 핵심 인물로 거론되고 있으며 이 회장은 특검 조사에서 대선 직후 김 여사에게 고가 목걸이를 선물하고 박 전 실장을 정부 요직에 기용해달라고 요청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이 목걸이는 실제로 김 여사가 나토 순방 당시 착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박 전 실장이 총리실 비서실장으로 임명되면서 청탁 의혹은 현실화됐고 이 회장의 후계 구상에도 균열이 생겼다는 분석이다.

올해로 팔순을 넘긴 이 회장은 슬하에 세 딸을 두고 있으며 일찌감치 '능력 중심의 승계' 원칙을 천명해왔다. 현재 장녀 이은희 부사장은 통합구매본부를, 차녀 이성희 전무는 재무본부를, 막내 이도희 실장은 미래사업본부를 이끌고 있다. 이 중 장녀는 가장 오랜 기간 회사 경영 전면에 나서며 후계 1순위로 평가돼왔지만 이번 사위 리스크로 인해 후계 구도가 안갯속에 빠졌다는 게 재계의 중론이다.

'나토 목걸이' 파문··· 서희건설 장녀 승계, 다시 안갯속 기사의 사진

서희건설의 지배구조는 다층적인 순환출자 구조로 얽혀 있다. 한일자산관리앤투자에서 유성티앤에스를 거쳐 서희건설에 이르는 구조이며 유성티앤에스는 서희건설의 지분 29.05%를 보유한 사실상 지주회사다. 이 유성티앤에스의 최대주주는 다시 한일자산관리앤투자(31.89%)이며 한일자산관리앤투자 지분은 이 회장과 세 딸, 그리고 서희건설이 49.59% 대 50.41% 비율로 나눠 갖고 있다. 복잡한 순환 지분구조 속에서도 오너 일가의 실질 지분은 37% 선에 머물고 있어 절대적 지배력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구조적 제약 속에서 후계 구도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것이 유한회사 '애플이엔씨'다. 오너 일가가 100% 지분을 보유한 이 회사는 최근 장내 매수를 통해 서희건설 지분을 11.91%까지 끌어올렸다. 유한회사 특성상 지분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만큼 향후 누가 애플이엔씨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되느냐에 따라 서희건설의 승계 향방이 결정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까지는 장녀가 애플이엔씨를 사실상 관리하고 있다는 평가가 우세했지만 이번 인사청탁 논란을 계기로 차녀 또는 막내 측으로 지분이 재편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특히 차녀는 재무와 자산관리에서, 막내는 신사업 부문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어, 세 자매 간 '조용한 힘겨루기'가 본격화될 조짐이다.

시장 일각에선 이번 사위 리스크가 단순한 윤리 논란을 넘어 서희건설 지배구조 전반을 흔드는 '트리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오너 리스크가 기업 승계와 지배구조 안정성에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후계 구도 혼선이 길어질 경우 시장 신뢰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