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서울 21℃

인천 22℃

백령 21℃

춘천 20℃

강릉 18℃

청주 24℃

수원 22℃

안동 23℃

울릉도 25℃

독도 25℃

대전 25℃

전주 25℃

광주 25℃

목포 25℃

여수 26℃

대구 24℃

울산 25℃

창원 26℃

부산 25℃

제주 27℃

IT SKT·LGU+ "우린 안전합니다"...또 고개든 해킹 '공포마케팅'

IT 통신

SKT·LGU+ "우린 안전합니다"...또 고개든 해킹 '공포마케팅'

등록 2025.09.17 16:53

강준혁

  기자

공유

SKT·LGU+, KT 사태 관련 안내문···"공포 마케팅 아냐"매장엔 '비방 영업' 자제 당부했지만 잘 지켜지지 않아업계선 비판 목소리 커 "건전한 경쟁 문화 조성해야"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이동통신 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경쟁사들의 마케팅 경쟁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일선 대리점들에 이번 사태를 활용한 '비방 영업'을 자제하라고 당부했지만, 정작 공식 온라인몰에서는 이번 사안과 관련한 마케팅 문구를 내거는 등 모순적인 행보를 벌였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안내문. 사진=온라인숍 캡처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안내문. 사진=온라인숍 캡처

1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무단 소액결제 사태 발생 직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공식 온라인 대리점에 이와 관련한 안내문을 게재했다.

SK텔레콤은 "불법 유심 복제와 복제폰, 불법 초소형 기지국 등을 탐지하고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가동 중이니 안심해도 된다"는 내용을 담았으며, LG유플러스도 "기지국은 암호화돼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소액결제도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통신사는 최근 사태와 관련해 고객을 안심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하지만, 업계에서는 시장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 것과 다름없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낸다.

대리점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마케팅 가능성도 점쳐진다. 경쟁이 치열한 통신 시장에서 타사의 악재는 호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때를 노려 가입자를 끌어모으면 대리점도 수익을 낼 수 있어, 일련의 사태 때마다 '공포 마케팅'을 일삼아 왔다.

올해 4월 발생한 SK텔레콤 유심(USIM) 해킹 사태 때도 이런 식의 홍보가 많았다. 일부 대리점은 노골적인 문구로 가입자를 유치했다. 회사에서는 이 같은 공포 마케팅을 지양할 것을 주문했지만, 대리점의 일탈을 원천 차단하지는 못했다.

소액결제 사태로 인한 피해가 알려진 것보다 더 클 수 있다는 분석이 쏟아지면서 이런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커진 상황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피해 고객은 278명으로 결제 건수는 총 527건이다. 피해가 공식화된 지역은 광명시, 금천구, 부천시, 과천시, 인천시 등 5곳이지만, 전국적으로 비슷한 유형의 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이 중에는 앞선 사건과의 유사성을 검토 중인 사건도 있다.

일각에서는 IMSI 만으로는 소액결제가 어렵다는 점을 들어, 추가적인 유출 가능성도 제기된 상황이다. 소액결제를 완료하려면 이름과 주민번호를 넣는 ARS 인증 등을 거쳐야 한다는 이유다.

KT는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각도로 대응에 나선 상태다. 이에 앞서 KT는 지난 6일 사건을 인지한 뒤 상품권 판매업종의 결제 한도를 10만원으로 축소하고, 결제 과정에서의 비정상 패턴 탐지를 강화하는 등 예방 조치를 시행했다.

비정상 소액결제 피해가 확인된 고객을 대상으로 개별 안내를 하며 소액결제 청구를 면제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계약 해지 위약금을 면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목소리를 내며 경쟁사 비방을 막고는 있지만, 대리점의 마케팅을 100% 차단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회사에서 책임 의식을 갖고 건전한 영업 문화를 조성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