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물가·근원물가 모두 오름세 확대농축수산물 상승폭은 둔화된 모습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8월(1.7%) 대비 0.4%포인트(p) 높아졌다. 품목별로는 석유류가 지난해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2.3% 오르며 상방 요인으로 작용했고, 서비스도 통신요금 일시 할인 종료 영향으로 2.2% 상승했다. 반면 농축수산물은 1.9% 오름에 그쳐 전월(4.8%)보다 크게 둔화됐다. 농산물은 -1.2%로 채소류 가격이 하락 전환했고, 축산물(5.4%)과 수산물(6.4%)은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생활물가 상승률은 8월 1.5%에서 9월 2.5%로 올랐고,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도 2.0%로 반등했다. 공공서비스는 통신요금 효과 소멸로 -3.6%에서 1.2%로 다시 상승했다. 기대인플레이션(향후 1년 기대치)은 2.5%로 전월(2.6%)보다 소폭 낮아졌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9월 소비자물가는 예상대로 2%대 수준의 오름세를 나타냈다"며 "환율·유가 등 대외 여건 불확실성이 커 물가 상황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국제유가, 환율 변동성과 지정학적 불안 요인이 물가 흐름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물가상승률이 단기적으로는 2% 내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대외 여건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는 계획이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