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구조 대폭 개선···합병 효과·생산성 향상·개발비 부담 완화美 공장 인수 '관세 리스크' 해소···현지 생산 본격화
셀트리온은 21일 공시를 통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으로 매출 1조260억원, 영업이익 301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3%, 44.9% 증가한 수치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성과다. 영업이익률 역시 29.3%를 기록, 뚜렷한 수익성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이번 실적의 핵심 동력은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제품 판매 ▲수익성 높은 신제품 비중 확대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 효과 등이다. 특히 매출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9%p 감소한 39%로, 30%대 진입에 성공하며 수익 구조 개선이 가시화됐다.
제품군별로는 피하주사제형 자가면역 치료제인 '램시마SC'를 포함한 고수익 신제품군이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매출을 기록,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고수익 제품의 매출 비중은 작년 3분기 42%에서 올해54%로 증가, 수익성 중심의 구조 재편이 성공적으로 진행 중임을 보여준다.
또한 3분기 미국과 유럽에 새롭게 출시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는 출시 첫 분기에만 5000억원 이상의 합산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장 안착에 성공했다. 이들 제품은 기존 자가면역질환 중심 포트폴리오에 항암 및 알레르기 치료제를 더하며 셀트리온의 치료영역을 다각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눈에 띄는 구조적 변화는 원가 개선이다. 매출원가율의 급감은 단순한 일시적 성과가 아닌, 구조적 전환의 결과로 풀이된다. 합병 이후 ▲고원가 재고 소진 ▲생산 수율(Titer) 개선 ▲개발비 상각 종료 등 다양한 요소가 동시에 작용했다.
특히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은 글로벌 유통-생산 체계를 단일화하면서, 중복 비용 절감과 공급망 최적화라는 실질적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는 영업이익 확대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향후 성장 전략도 구체화되고 있다. 셀트리온은 최근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생산 공장을 인수하고, 위탁생산(CMO) 계약을 함께 체결했다. 이로써 미국 내 생산기지를 확보함으로써 관세 리스크를 해소하고, 현지 판매·생산 시너지를 노릴 수 있게 됐다.
또한 인수 공장 내 유휴 부지에는 주요 바이오시밀러 및 신제품 생산을 위한 시설 확장을 추진 중으로, 미국 내 공급망을 직접 통제하며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연말부터 내년까지 '아이덴젤트'(성분명 애플리버셉트) 등 고수익 바이오시밀러를 글로벌 주요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제품과의 마케팅 시너지를 창출하며 전체 제품군의 매출 확대를 견인할 전망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3분기를 기점으로 합병 영향이 대부분 해소돼 정상화된 원가 구조가 정착됐고, 이를 바탕으로 이익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전사적으로 신규 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글로벌 매출 확대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서승범 기자
seo610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