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핀테크 위크 모인 금융지주 회장들 "AI 시대, 개척 정신으로 리드"

금융 금융일반

핀테크 위크 모인 금융지주 회장들 "AI 시대, 개척 정신으로 리드"

등록 2025.11.26 15:54

이지숙

  기자

하나금융 부스 찾은 함영주 회장 "AI시대 앞서가겠다"양종희 KB금융 회장, KB손보 AI 서비스 칭찬하기도금융지주, 상용화 앞둔 AI 서비스 대거 선보여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26일 오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석해 KB금융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이지숙 기자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26일 오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석해 KB금융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이지숙 기자

올해로 7회째 맞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금융지주 회장들이 총출동했다. 4대 금융지주와 iM금융그룹, IBK기업은행, 농협은행, 카카오뱅크, 삼성금융네트웍스는 금융관에 부스를 마련하고 각 기업의 생성형 AI 기술을 선보였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 역대 최대 규모 개최

국내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 핀테크 기업 대거 참여

생성형 AI 등 첨단 기술 중심으로 신기술 시연

자세히 읽기

4대 금융지주 회장 행사장 방문, 부스별 AI 기술 체험

하나금융 '공포탐욕시그널'로 투자 심리 수치화

KB금융, AI 화법 코칭·소비정보 분석 서비스 선보임

서비스 혁신

하나금융, 저시력자와 외국인 위한 AI 안경 전시

우리금융, 포용금융 기능 AI 키오스크 시연

우리은행, AI 어시스턴스·보이스피싱 예방 서비스 준비

숫자 읽기

99개 부스, 128개 기업·기관 참가

KB손해보험, 147명 설계사 대상 AI 코칭 시범 운영

신한카드, 김해시와 AI 상권분석 솔루션 계약 추진

향후 전망

내년부터 AI 기반 서비스 본격 상용화 예정

개인 맞춤형 금융·포용금융 확대 기대

AI 활용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 등 지자체 협력 확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는 26일부터 3일간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인 99개 부스, 128개 기업·기관이 참가한다.

AI 기술 직접 살펴본 회장들 "AI 시대 앞서나갈 것"


4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이날 오전 '핀테크 위크' 행사 전 각 금융그룹이 마련한 부스를 찾아 주요 기술을 살펴보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하나증권이 제공하는 투자심리 분석 AI 서비스인 '공포탐욕시그널'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듣고 살펴보기도 했다. 이는 증권사가 자체 AI 모델을 기반으로 종목별 공포지수를 개발한 첫 사례로 투자자의 심리를 0~100점으로 수치화해 보여준다. 종목·업종별 투자심리를 ▲매우 공포 ▲공포 ▲관망 ▲탐욕 ▲매우 탐욕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고객들은 이를 참고해 매매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함 회장은 이날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하나금융그룹은 고객을 편리하게 하고 새로운 AI 시대에 앞서가도록 하겠다"면서 "AI에 특화된 다양한 분야에서 (하나금융이) 개척투자 정신으로 금융을 리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26일 오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석해 하나금융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이지숙 기자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26일 오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석해 하나금융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이지숙 기자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도 KB금융 부스에 마련된 KB손해보험과 KB국민카드의 AI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많은 관심을 보였다. KB손해보험의 보험설계사를 위한 'AI 화법 코칭 솔루션'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KB국민카드의 AI 서비스에 대해서는 개인 소비정보를 분석해 상품을 추천할 수 없는 부분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개막식 후 우리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 삼성금융네트웍스(모니모) 부스를 찾아 직접 AI 서비스를 체험했다. 우리금융 부스에서는 인공지능 키오스크로 제작한 카드를 만들었으며, 하나금융 부스에서는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AI 안경을 착용하고 금융상품 설명을 들었다.

AI 기술 총출동···안경부터 지자체 분석 솔루션까지


금융사들은 상용화 전인 다양한 AI 서비스를 이날 부스에서 시연하기도 했다.

하나금융은 셀리코와 협업한 AI 안경을 전시했다. 셀리코의 AR 글라스는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저시력자의 남은 시력을 보완하는 스마트 보조기기로 내년부터 하나은행과 본격적인 협업에 나설 예정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서 하나은행금융그룹 부스를 찾아 AI 안경을 끼고 상품설명서를 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서 하나은행금융그룹 부스를 찾아 AI 안경을 끼고 상품설명서를 보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하나은행은 이를 통해 저시력 고객이나 고령자에게 문서를 읽어주고 요약해 핵심을 들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외국인 고객들에게도 AI 안경을 통해 문서 번역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우리금융은 포용금융 기능을 담은 AI 키오스크를 부스에 전시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첨단기술을 단순히 기술적 과시에 쓰는 것이 아니라 포용금융을 실천하기 위해 접근하는 방식"이라며 "음성으로 대화하는 AI 어시스턴트와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고 예방이 주요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마련된 우리금융그룹 부스에서 금융사기를 예방하는 AI 키오스크 시연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 금융위원장, 김건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마련된 우리금융그룹 부스에서 금융사기를 예방하는 AI 키오스크 시연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 금융위원장, 김건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우리은행은 음성으로 대화하는 AI 어시스턴스 기능을 내년 영업점 키오스크에 적용할 예정이며 보이스피싱 예방 서비스 도입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우리카드도 AI 키오스크를 통해 선보인 카드 제작 서비스를 내년 상반기 고객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캐릭터를 생성하고 이를 카드 디자인에 적용해 나만의 카드를 만드는 방식이다.

KB손해보험은 내년 정식 도입 예정인 보험설계사를 위한 'AI 화법 코칭 솔루션'을 소개했다. AI 화법 코칭은 고객 응대 과정에서 나타나는 설계사의 언어, 음성, 표정, 시선, 습관어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올해 147명의 설계사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했으며 내년 정식 도입 예정이다.

신한카드는 중소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AI 기반 상권분석 솔루션을 공개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김해시와 계약을 준비 중이며 현재 두 달 간의 무상체험 기간"이라며 "생성형 AI를 통해 지역별 소비 현황, 상권별 매출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I가 지자체에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도 해준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