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일반
이찬진 금감원장 "보이스피싱 중대 민생범죄···안심차단서비스 지원 총력"
금융감독원이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를 시행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에 나섰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현장 점검과 간담회를 통해 관계기관 협조와 서비스 정착을 강조했다. 안심차단서비스는 무단 계좌조회 및 이체를 막고, 가입 시 소비자 확인이 필요하다.
[총 66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이찬진 금감원장 "보이스피싱 중대 민생범죄···안심차단서비스 지원 총력"
금융감독원이 오픈뱅킹 안심차단서비스를 시행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에 나섰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현장 점검과 간담회를 통해 관계기관 협조와 서비스 정착을 강조했다. 안심차단서비스는 무단 계좌조회 및 이체를 막고, 가입 시 소비자 확인이 필요하다.
한 컷
[한 컷]이찬진 금감원장, 금융투자상품 설계·판매 단계의 소비자보호 강화 첫 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의 금융감독 전환을 위한 금융소비자보호 토론회: 금융투자상품 설계·판매 단계의 소비자보호 실효성 강화 방안'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금융일반
금감원, 업권별 소비자 보호 방안 마련···이달 중 조직개편 확정
금융감독원이 업권별 특성을 고려한 금융소비자 보호 방안을 마련하고, 내부통제 강화와 민원 많은 분야 개선을 위해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이르면 이달 중 개편안을 확정하고, 업계 및 시민단체와 구체적 개선책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금융일반
"안전한 상품이라 믿었는데···" 민원인 직접 만난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감독원 이찬진 원장이 금융민원센터에서 벨기에펀드 전액 손실, 실손보험 미지급 등 주요 금융 피해자와 직접 상담을 진행했다. 금감원은 내년 1월까지 매주 현장 상담을 운영하며, 소비자 신뢰 회복과 분쟁조정 기준 재정비, 소비자보호 중심 조직개편에 나선다.
카드
금감원 소비자보호 첫 쇄신은 '카드사'···이용정지·해지 등 정보 관리 채널 추진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 출범 후 카드사 정보관리 채널 혁신을 첫 과제로 선정했다. 앱·홈페이지에 '빨간색 사이렌' 표시를 도입해 카드 해지, 이용정지 등 핵심 메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콜센터 및 해지 절차도 간소화된다. 연내 전 카드사 도입 예정이다.
카드
현대카드, 금융당국과 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 논의한다
현대카드는 11월 3일부터 7일까지 '소중한주' 캠페인을 개최해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한다. 금융당국과의 소비자패널 간담회, 청소년·취약계층 대상 금융교육, 전 임직원 금융소비자보호법 퀴즈, 우수조직 포상 등 총 12개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권익 증진과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은행
하나금융그룹,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금융권 최초
하나금융그룹은 금융권 최초로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했다고 26일 밝혔다. 또한, 그룹 전사적 차원의 금융소비자보호 정책 추진을 위한 '그룹 소비자보호 거버넌스'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하나금융그룹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 및 국가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 관계사가 참여하는 '경제성장전략 TF'를 구축했다고 이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관세피해기업 지원 ▲생산적 금융 ▲
금융일반
내년부터 농협·수협 등 상호금융권도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금융위원회가 내년 1월부터 농협·수협 등 상호금융권 대출상품의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제도를 도입한다. 실비용 내에서만 수수료를 부과하게 하며, 수수료 체계를 전 금융권으로 일원화한다. 제도 적용은 신규 대출에 한정되며, 각 조합은 수수료율을 공식 공시할 예정이다.
카드
국감 달군 롯데카드 해킹 사태···이찬진 금감원장, 여야 '십자포화' 맞았다(종합)
국정감사에서 롯데카드 해킹 사건을 계기로 금융권 전반의 사이버 보안 취약성과 금융감독원의 미흡한 초동 대응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카드사뿐 아니라 보험사, 법인보험대리점까지 해킹 사고가 잇따르며 피해 보상 및 소비자 보호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일반
"금융사고 본질은 감독 실패"···이찬진 "책무구조 내재화·KPI 보완하겠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반복되는 금융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불완전판매와 금융감독 체계 문제를 지적했다. 홍콩 ELS, DLF 등 대형 금융사고 이후에도 실질적 개선이 부족하다며, 금융회사의 책임구조 강화, KPI 개선, 컨슈머 듀티 도입 등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의 제도 개편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책무구조 내재화, KPI 보완, 무과실 보상 입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