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일반
금감원, 책무구조도 운영 실태 점검 나선다···"하반기 현장·서면 점검"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 내부통제 체계 안착을 위해 책무구조도 운영 실태를 점검한다. 금융지주와 은행 44곳 중 8곳은 현장, 나머지는 9월 서면 점검을 실시하고, 대형 금융투자·보험회사는 하반기에 실태 조사를 예고했다. 미비점 발견 시 개선 조치를 권고할 방침이다.
[총 184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금감원, 책무구조도 운영 실태 점검 나선다···"하반기 현장·서면 점검"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 내부통제 체계 안착을 위해 책무구조도 운영 실태를 점검한다. 금융지주와 은행 44곳 중 8곳은 현장, 나머지는 9월 서면 점검을 실시하고, 대형 금융투자·보험회사는 하반기에 실태 조사를 예고했다. 미비점 발견 시 개선 조치를 권고할 방침이다.
은행
9월 ELS 판매 앞두고 법률 리스크에 셈법 복잡한 은행권
은행권이 ELS 불완전판매 재발 우려와 다중대표소송제 도입 등 법률 리스크 확대로 경영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금융지주회사법 개정 움직임 속에 소수주주 소송권이 확대되며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강화가 시급하다. 투자자 보호와 수익성 확보 사이에서 전략적 거버넌스 정비가 요구된다.
은행
[NW리포트]금융사고에 어깨 무거워진 준법감시인···4대 은행, 내부통제 더 힘준다
금융사고가 잇따르며 4대 시중은행이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준법감시인 인사 교체와 조직 개편, 인력 확충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달 책무구조도 실태 점검에 나설 계획이며, 각 은행은 연말까지 준법감시직원 비율 0.8% 이상을 목표로 관리체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은행
김성태 기업은행장 "불확실성 클수록 가치에 집중하는 것 중요"
IBK기업은행이 창립 64주년 기념식에서 글로벌 금융그룹 도약을 위한 건전성 관리와 내부통제 강화, 중소기업금융 확대, 디지털전환 및 AI 기술 도입 등 다양한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기업은행은 위기 속에서도 정책금융기관 본연의 역할 강화와 미래 지속성장을 위한 혁신을 강조했다.
금융일반
은행권, 내부통제에 포상금 '억' 건다···실효성은 '글쎄'
은행권에서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내부고발자 포상금이 최대 20억원까지 인상되고 있으나, 고발자 보호와 절차 간소화 등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사고 피해액에 비해 포상금이 적고, 익명성 보장 부족 등이 문제로 남아 있다.
은행
IBK기업은행, 하반기 정기인사···'내부통제·미래 경쟁력' 초점
IBK기업은행이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15일 기업은행은 '공정한 기회 속에 서로 공감하고 함께 성장하는 인사' 원칙에 따라 총 2714명이 승진·이동했다고 밝혔다. 특히 '내부통제 강화'와 '미래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먼저 기업은행은 부당대출 사태 이후 수립한 쇄신 계획을 추진하고자 여신부문 사고예방 관련 의사결정 체계 및 프로세스를 검토·재설계할 '여신문화개선팀'을 신설했다. 또 준법감시업무 강화, 디지털
금융일반
새마을금고 내부고발자, 포상금 최대 10배 올린다
정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새마을금고 내부고발자 포상금을 기존 최대 5천만원에서 5억원으로 10배 상향한다. 100여곳 금고 특별 점검과 함께 중대 금융사고 발생 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하고, 내부통제 강화와 임직원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은행
은행 책무구조도 담당자 만난 금감원···실효성 제고방안 논의
금융감독원과 한국금융연수원이 은행·금융지주 임직원을 대상으로 책무구조도 운영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연수를 진행했다. 실무적 애로사항과 제도 개선방안이 논의됐으며, 내부통제체계 실효성을 높이고 임직원 인식 전환에 기여하는 계기가 됐다.
금융일반
[금융지주 상반기 점검]우리금융, 임종룡표 포트폴리오 완성···하반기 시너지 본격화
우리금융이 보험사 인수를 마무리하며 종합금융그룹 체제를 완성했으나, 상반기에는 이자수익 둔화와 충당금 증가로 실적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하반기에는 보험·비은행 시너지, AI 등 신사업에 집중하며 실적 반등과 내부통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금융일반
[책무구조도 무용론]"사후 제재만으론 한계···CEO 책임 강화 시급"
올해 들어 은행권에서 토스뱅크 횡령, IBK기업은행·NH농협은행 불법 대출 등 대형 금융사고가 연달아 발생했다. 책임 구조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내부통제와 예방 효과는 미흡하다는 평가다. 전문가는 CEO 책임 강화와 조직문화 개선, 외부 감시 확대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