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직 계열화, 대기업 계열 투자 배급사만 배부른 구조
현재 영화제작가협회가 제기하는 현장의 불공정한 문제는 대기업의 배급시장 점유율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산업통계 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CJ그룹 계열사의 CGV와 롯데그룹 계열사의 롯데시네마의 총 스크린수 및 좌석 점유율은 전체의 약 70%에 육박했다. 각 배급사별 점유율로만 따져도 상황은 비슷하다. CJ E&M이 26.7%, 롯데엔터테인먼트가 12.0%, 쇼박스미디어플렉스가 12.6%다. 대기업 3사 점유율이 51.3%에 달한다.
영화제작사 명필름 대표이자 영화제작가협회 회장인 이은 회장은 “현재 한국영화 산업은 대기업 독과점과 수직계열화로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영화시장의 절반 이상을 대기업이 점유함에 따라 불공정한 거래가 관행처럼 이뤄지고 있으며, 대기업 멀티플렉스 극장은 대기업이 배급하는 영화만을 몰아서 상영하는 스크린 독과점 현상을 주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런 양상이 되다보니 부율(제작-배급사와 극장이 해당 영화의 최종 수익을 나누는 비율, 기존 50(배급사):50(극장)에서 올해 초 55(배급사):45(극장)으로 조정)과 배급 수수료(영화 전체 수익의 약 10% 수준)가 제작사에 불리한 조건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투자 배급사들은 제작과 배급(극장)까지 겸하고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엄청난 수익을 창출한 영화라도 실제 제작사에게 돌아가는 수익은 상당히 미미했다.
최근 들어 새롭게 도드라진 문제도 있다. 바로 극장 설비비용을 제작사에 부과하고 있는 점이다. 협회에 따르면 현재 디지털로 개봉하는 모든 영화는 ‘디지털필름 상영시스템 이용료’(VPF, Virtual Print Fee)란 명목으로 극장 상영 1회당 1만원의 돈을 제작사들은 극장 측에 내고 있다. 이 돈은 DCK(디 시네마 오브 코리아)란 회사가 징수하고 있다. 극장 측은 대당 8000만 원에서 1억 원에 달하는 상영시스템을 10년 동안 유지 및 관리비를 DCK에 납부하면 장비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초기 설비 비용의 1/3은 극장이 부담한다. 공교롭게도 DCK는 2007년 CGV와 롯데시네마가 각각 50%씩 출자해 국내 영화관을 대상으로 디지털 영사시스템을 보급한다는 취지로 설립된 회사다.
◆ 영화 ‘26년’ DCK에 대해 소송
지난해 개봉해 최종 누적 관객 수 295만 여명을 동원한 영화 ‘26년’을 통해 VPF 징수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26년’ 제작사인 영화사 청어람 측은 개봉을 한 달여 앞둔 지난해 11월 DCK로부터 VPF 계약 체결 요청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협회 부회장이자 청어람의 최용배 대표는 “VPF를 부담하게 하는 건 극장 영사기 구입 및 설치비용을 떠 넘기기 위한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당시 최 대표에 따르면 VPF 납부 계약 체결을 거부하자 ‘26년’은 개봉 일주일을 앞두고도 CGV와 롯데시네마에 예매 시스템이 개시되지 않았다는 것. 결국 어쩔 수 없이 청어람 측은 VPF계약을 할 수 밖에 없었단다. 최 대표는 “영화는 한 편을 만들기 위해 수 많은 투자자의 도움을 받는다. 상영관이 열리지 않으면 피해는 고스란히 수많은 투자자들에게 돌아간다”면서 “‘26년’의 VPF 계약 체결은 노예계약이나 마찬가지 였다”고 말했다.
청어람 측은 지난 1일 DCK를 상대로 영화배급사 디지털상영 시스템 이용료 청구에 대해 채무부존재확인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결국 VPF 계약이 공정거래법에 위배되는 행위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다.
◆ 공공적 배급사 설립이 해답?
청어람의 사례가 시발점이 됐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한국영화제작가협회는 결국 대기업 중심의 배급, 다시 말해 영화 유통 시장에서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공공적 성격의 배급사인 ‘리틀빅픽쳐스’를 설립했다. 협회 회원사 중 10개사가 주주로 참여한 주식회사다.
협회 부회장인 영화사 삼거리픽쳐스 엄용훈 대표는 “기본적으로 대기업 계열 배급사들은 극장을 함께 운영해 배급 라인을 유동적으로 조율한다”면서 “‘리틀빅픽쳐스’는 극장 즉 배급망 조율보단 영화란 본질에 접근해 ‘작지만 강한 회사’로 운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협회 부회장 겸 영화사 리얼라이즈픽쳐스 원동연 대표는 “‘리틀빅픽쳐스’를 통해 제작사들에게 불리한 모든 조건들을 점차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으로 회사의 발전 방향을 잡아 나갈 것이다”면서 “앞으로 이런 과정들이 거치게 되면 시장이 보다 건전하게 변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협회의 공공적 배급사 설립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내는 이들이 많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리틀빅픽쳐스’란 투자 배급사를 설립하면서 첫 제작 영화도 확정하지 않았다”면서 “대기업이 현재 투자와 배급 시장을 모두 선점한 상태에서 어떤 자금과 극장이 ‘리틀빅픽쳐스’와 손을 잡을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기업 자본과 배급에서 독립된 ‘리틀빅픽쳐스’ 첫 투자 배급 영화가 어떤 흥행 결과를 낳을지가 관건일 것이다”고 내다 봤다.
김재범 기자 cine517@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재범 기자
cine51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