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써브는 최근 전국 회원 중개업소 748곳을 대상으로 ‘중소형·중대형 전망’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경기회복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중소형 인기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응답자가 77.1%(577명)에 달했다고 30일 밝혔다.
‘경기 회복이 진행될 때까지 일시적이’라는 답변은 22.9%(171명)에 그쳤다. ‘중소형 선호도가 중대형보다 높은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63.1%(472명)가 ‘인구 구조변화(베이비붐 세대 은퇴, 핵가족화)’를 꼽았다.
이어 ‘중대형 대비 낮은 매맷(분양)값과 유지비’ 22.9%(171명), ‘중대형보다 가격 하락 방어에 유리’ 13.1%(98명)로 조사됐다.‘발코니 확장 가능(신평면 등장)’은 단 0.9%(7명)에 불과했다.
‘4인 가족이 거주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전용면적’에는 71.0%(531명)가 ‘84㎡’를 꼽았다. ‘102㎡’는 15.5%(116명), ‘74㎡’가 9.8%(73명), ‘59㎡’ 3.7%(28명) 순이었다.
‘중대형 아파트 가격이 많이 하락해 있는 현시점에서 고객에게 중대형 매수를 권하겠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57.6%(431명)이 ‘권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권한다’는 응답은 42.4%(317명)로 나타났다.
공인중개사들이 매수를 권하지 않는 이유로 관리비 등 불필요한 유지비용 발생, 주택소유개념 변화, 인구 구조변화로 중대형 불필요, 매도 시 어려움, 추가 하락 가능성 등을 꼽았다.
반대로 매수를 권하는 이유는 중소형 집중 공급으로 인한 중대형 부족, 삶의 질 향상(거주의 편리성), 큰 가격 하락폭으로 투자에 유리한 점 등을 들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팀장은 “중대형 가격 하락에도 매수를 권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소 높은 것은 중대형이 실거주·투자측면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다고 판단한 공인중개사들이 적지 않은 덕분”이라고 말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sd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