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기준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분석을 통해 “동양증권이 위험성이 부각된 2012년 계열사의 CP, 회사채 판매 비중은 38.1%에 불과하지만 계열사 판매 수수료 수익비중은 65.2%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2013년 1월에서 8월까지 계열사에 대한 CP, 회사채 판매비중은 44.2%로 전년도에 비해 오히려 증가했고 계열사 수수료 수익 비중도 65.2%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에 앞서 2011년 동양그룹 계열사의 CP, 회사채 판매 비중은 43.5%인데 반해, 계열사의 CP와 회사채를 판매해 벌어들인 수수료 수익은 51.7%로 판매비중과 수수료 수익 비중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습니다.
동양그룹 계열사의 CP, 회사채가 투기등급이어서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알면서도 판매수수료 수익을 챙기기 위해서 CP, 회사채를 판매한 것으로 분석된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동양그룹 계열사들은 동양증권을 통해 위험성이 있는 CP나 회사채의 물량 밀어내기를 했고, 동양증권은 신용등급이 좋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개인에게 판매를 해 수수료를 챙겼다”며 “금감원에서는 동양증권에 대해 그룹이나 증권사의 임원선에서 CP나 회사채 판매 강요가 이루어졌는지 철저히 분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장원석 기자 one218@

뉴스웨이 장원석 기자
one2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