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연금저축 취급 비중 낮고, 수익률도 3%대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28일 저축의 날을 맞아 열린 행사에서 “100세 시대에 맞는 연금저축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소비자 시선은 냉랭하다.
◇가계저축률 하향세, OECD 평균에 못 미처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이하 가계저축률)은 4.5%로 1년 전 3.4%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일시적으로 높아지긴 했지만, 가계저축률은 2001년 이후 5%를 넘은 경우가 2004년(8.4%)과 2005년(6.5%) 두 차례뿐일 정도로 하향세다.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 24.7%로 정점을 찍었던 가계저축률은 1990년대 평균 16.1%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가 2001년(4.8%)부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를 밑돌았다.
2011년 기준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3.4%로 OECD 평균인 5.3%에 훨씬 못 미친다. 이는 9~13%에 달하는 독일·프랑스·스위스 등 유럽 주요 국가는 물론 미국(4.2%)보다도 낮다.
◇시중은행 연금저축 평균 구성비 2%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저축의 역할이 과거만큼 재산 증식의 수단이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인정했다. 신 위원장은 “고령화와 100세 시대에 맞출 수 있도록 정부가 연금저축상품 개발을 유도하겠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 외에도 노후자금으로 쓸 수 있는 연금저축을 활성화시키겠다는 것이다.
연금저축은 10~30년간 저축금을 납입하면 5년~종신까지 연금을 수령받는 초장기의 금융상품이다. 금융감독원 연금저축 공시 홈페이지와 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은행에서 채권형과 안정형으로 연금저축신탁을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의지와는 다르게 시중은행의 연금저축 평균 구성비는 2%대다. 금융감독원 금융정보통계시스템의 시중은행별 연금신탁 구성비에 따르면 올해 6월 시중은행 평균 구성비는 2.52%다. 2012년 6월 2.38%에 비하면 아주 미미한 숫자만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리 5.94%로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였으며, 그 뒤를 국민은행(4.58%) 우리은행(1.99%) 외환은행(1.04%) 하나은행(0.70%) 씨티은행(0.21%)이 이었다. 한 자릿수 구성비로 사실상 연금저축 취급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는 셈이다.
◇연금저축 평균 수익률도 3~4%대
은행권의 무관심 외에도 지나치게 떨어지는 수익률도 소비자들이 연금저축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연금저축을 가입을 10년 가량 유지하는 소비자들은 절반에 지나지 않는다.
자료를 살펴보면 농협은행의 ‘웰빙연금신탁(채권형)’의 가입자는 1년간 유지율이 95.98%에 달하지만 10년 유지율은 절반 수준인 41.25%로 떨어진다. 다른 은행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금감원과 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연금저축의 평균 수익률은 3~4%대다. 그나마 판매 이후 가장 높은 연평균 수익률을 낸 곳은 신한은행이 취급하는 ‘연금저축신탁 채권형 제1호’로 4.59%다.
평균에 비해 높다곤 하지만 OK저축은행에서 취급하는 1년 적금이 5%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장기간 돈을 붓고 묵혀둬야 하는 기회비용이 더 큰 셈이다.
전문가는 수익률 외에도 장기간 돈을 넣을 수 없는 가계 재정 상황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권 안팎 관계자들은 “기간과 수익률을 현실화해야 연금저축 관심이 늘어날 것”이라면서 “은행도 기존 상품과 비슷하게 내놓으려 하지 말고 개발에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예술 기자 kunst@
뉴스웨이 손예술 기자
kuns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