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 서울

  • 인천 7℃

  • 백령 5℃

  • 춘천 5℃

  • 강릉 6℃

  • 청주 8℃

  • 수원 6℃

  • 안동 9℃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8℃

  • 전주 7℃

  • 광주 8℃

  • 목포 8℃

  • 여수 11℃

  • 대구 13℃

  • 울산 11℃

  • 창원 11℃

  • 부산 11℃

  • 제주 10℃

후강통 시행 일주일··· 中도 배당주 인기 ‘급상승’

후강통 시행 일주일··· 中도 배당주 인기 ‘급상승’

등록 2014.11.25 08:29

김민수

  기자

공유

중국과 홍콩증시를 연결하는 후강통 시행 일주일을 맞아 중국에서도 배당주가 높ㅡ은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투자업계와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후강통이 처음 개시된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중국증시에서 순매수 규모가 컸던 15개 종목 가운데 고배당주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약 17억위안 규모의 순매수를 기록해 매수 상위 1위를 차지한 중국 철도업체 다친철도의 경우 최근 배당률은 4.778%로 대부분 1~2% 수준인 다른 종목들의 배당률을 크게 웃돌았다.

순매수 규모 상위 2위에 오른 중국 상하이자동차(SAIC)와 5위인 공상은행의 배당률 또한 각각 6.434%, 7.092%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 외에도 순매수 규모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13위 건설은행이 7.160%, 14위 초상은행 역시 5.827%의 배당률을 나타냈다.

이처럼 최근 중국증시에서 고배당주의 인기가 높아진 데 대해 시장에서는 중국의 기준금리가 2년 넘게 3%대를 유지하면서 기관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 배당을 많이 하는 종목을 집중 매수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4대 은행을 포함해 중국 은행들은 중국 재정부나 중국투자공사(CIC) 등 주로 정부기관이 대주주인 경우가 많다”며 “향후 재투자 등 자금 활용을 고려해 배당을 많이 받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한 주간 홍콩에서 중국 본토주식을 매매할 수 있는 후강통을 통한 중국 본토 A주의 전체 순매수 규모는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 첫날 17일 총 120억8200만위안이 순매수됐던 것과 달리 이틑날인 18일에는 매수 규모가 49억4400만위안으로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이어 19일 26억7000만위안, 20일에는 34억1000만위안으로 등락을 보인 뒤 21일에는 24억3050만위안에 그치는 듯 개장 직후보다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역시 후강통 시행 후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는 등 약세를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수 기자 hms@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