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5일 토요일

  • 서울 6℃

  • 인천 8℃

  • 백령 6℃

  • 춘천 7℃

  • 강릉 8℃

  • 청주 10℃

  • 수원 8℃

  • 안동 8℃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1℃

  • 전주 11℃

  • 광주 12℃

  • 목포 11℃

  • 여수 12℃

  • 대구 12℃

  • 울산 13℃

  • 창원 11℃

  • 부산 13℃

  • 제주 13℃

차기 금투협 회장 20일 선출··· 후보 3人 강점 ‘각양각색’

차기 금투협 회장 20일 선출··· 후보 3人 강점 ‘각양각색’

등록 2015.01.16 15:07

수정 2015.01.16 15:19

김민수

  기자

공유

후보자 3명 모두 장·단점 뚜렷김기범, 지난해 7월까지 현업 종사 강점최방길, 자산운용사 출신 회장 기대감↑황영기, 거물급 금융인사의 ‘힘’ 부각

이달 20일 치러지는 차기 금융투자협회장을 뽑는 선거를 앞두고 최종 3명의 후보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 한국금융투자협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는 김기범 전 KDB대우증권 사장과 최방길 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대표,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 등 3명을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

이들은 모두 ‘관(官)’이 아닌 민간기업 출신으로 업계 사정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아울러 후보별로 서로 다른 강점도 갖고 있어 섣불리 선거 결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투표권을 가진 회원사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선물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등이 혼재돼 있는 만큼 이들의 표심을 어떻게 사로잡느냐가 선거 향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편 협회장 선출을 위한 금투협 총회는 오는 20일에 열린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상위 득표자 2명에 대한 결선 투표가 진행되며, 여기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임기 3년의 차기 금투협 회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왼쪽부터 김기범 전 KDB대우증권 사장, 최방길 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대표,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김기범 전 KDB대우증권 사장, 최방길 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대표,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



◇金, 최근까지 현업 종사··· 대우證 사임 과정 ‘잡음’

메리츠종금증권과 KDB대우증권 사장을 역임한 김 전 사장은 지난해 7월까지 금융투자업에 종사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때문에 다른 후보들에 비해 최근 현황 및 업계 요구사항 등을 잘 알고 있어 회원사와의 소통 및 조율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본인 역시 최우선 공약 가운데 하나로 협회를 회원사 중심의 소통형, 행동형 조직으로 만들겠다는 것을 천명하면서, 업계 의견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는 오명을 씻겠다는 각오를 밝히기도 했다.

다만 KDB대우증권 사장을 자진사퇴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은 부담이다.

실제로 지난해 임기가 8개월이나 남았던 김 전 사장의 전격 사임이 KDB산은지주와의 마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한 때 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온 바 있다.

◇崔, 자산운용사 절대적 지지··· 증권업계 경력 ‘無’ 약점

지난 1982년 신한은행 창립 멤버 가운데 한 명인 최 전 대표는 신한금융지주회사 상무, SH자산운용사 부사장을 거친 뒤 신한BNP파리바 자산운용 사장과 부회장까지 역임한 대표적인 자산운용사 출신 인사다.

때문에 협회 회원사 가운데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산운용사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장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반대로 증권업계 경험이 없다는 것이 발목을 붙잡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현재 금투협에 소속된 회원사 164곳 가운데 증권사는 60개에 달한다. 회원가 중 자산운용사가 86개로 가장 많지만, 금투협 선거 규정상 투표권이 협회비 분담률이 높은 대형 증권사들에 가중치가 부여되는 만큼 득실 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黃, 금융업계 거물급 인사 출신··· 과거 금융사고 연루 부담

황영기 전 회장은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KB금융지주 회장을 차례로 지낸 금융업계의 거물급 인사다. 아울러 삼성생명 자산운용본부장과 삼성투자신탁운용 사장, 삼성증권 사장도 역임한 바 있어 후보군 가운데 가장 화려한 경력을 자랑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황 전 회장 역시 출마의 변을 통해 회원사의 고민을 직접 풀 수 있는 ‘힘 있는 조직’을 내세운 바 있다. 시장을 키우기 위해 규제 완화에 적극 나서고, 필요에 따라서는 정부 당국에 요구할 것은 요구하겠다는 게 공약의 핵심이다.

다만 과거 금융업계에 몸담고 있던 과정에서 불거진 도덕성 문제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 2008년 KB금융지주 회장 후보에 올랐던 시절에도 그는 삼성비자금 사태와 계열사 부당지원 혐의 등으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잇따라 경고를 받은 점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또한 우리은행 시절 서브프라임 사태 당시 관련 파생상품 투자를 직접 지휘했다가 8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입힌 부분도 부담이기는 마찬가지다.


김민수 기자 hms@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