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 논란에 휩싸인 소설가 신경숙이 잘못을 인정하고 작품 목록에서 해당 소설을 제외하겠다고 밝혔다.
신경숙은 22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마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과 ‘전설’의 문장을 대조해본 결과 표절이란 문제를 제기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국’을 읽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창비와 절판을 논의하지는 않았으나, ‘전설’을 거둬들이고 문학상 심사위원을 비롯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숙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다.
또 ‘전설’ 이외의 장편 ‘기차는 7시에 떠나네’와 단편 ‘작별인사’ 등 다른 작품에 대한 표절 논란에 대해서 “창작은 독서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으며 어떤 생각들은 시대와 국경을 넘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도 공통점을 갖는다”며 “내 문장으로 쓴 글들”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평단이나 독자들의 지적에 대해 성찰해 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표절 논란에 휩싸이자 일부에서 일고 있는 절필요구에 대해서 신경숙은 “아무리 생각해봐도 임기응변식 절필 선언은 할 수 없다. 나에게 문학은 목숨과 같은 것이어서 글쓰기를 그친다면 살아도 살아있는 게 아니다. 원고를 써서 항아리에 묻더라도, 문학이란 땅에서 넘어졌으니까 그 땅을 짚고 일어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문제를 처음 제기한 후배 작가 이응준씨를 비롯해 내 주변의 모든 분들, 무엇보다 내 소설을 읽었던 많은 독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모든 게 주변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내 탓”이라고 사과했다.
한편 지난 16일 소설가 겸 시인인 이응준은 허핑턴포스트코리아에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신경숙의 미시마 유키오 표절’ 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제, 신경숙의 표절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신경숙은 17일 창비를 통해 해당작품을 알지 못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이이슬 기자 ssmoly6@

뉴스웨이 이이슬 기자
ssmoly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