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에쓰오일, ‘마하셔 CEO’ 혁신 경영 본격 시동

에쓰오일, ‘마하셔 CEO’ 혁신 경영 본격 시동

등록 2015.09.23 09:44

차재서

  기자

공유

정유 및 석유화학 복합시설 마련에 4조7890억 투자 결정···수익성 개선 기대

나세르 알 마하셔 에쓰오일 대표 사진=뉴스웨이 DB나세르 알 마하셔 에쓰오일 대표 사진=뉴스웨이 DB


나세르 알 마하셔 에쓰오일 대표가 회사의 중장기 경영 전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에쓰오일은 이사회를 통해 울산 온산공장에서 진행 중인 정유 및 석유화학 복합시설 건설 프로젝트에 오는 2018년 6월까지 총 4조789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는 국내에서 발주된 단일 플랜트 공사 중 가장 큰 규모다.

에쓰오일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울산 온산공장에 잔사유 고도화 콤플렉스(RUC)와 올레핀 다운스트림 콤플렉스(ODC) 공장을 마련한다. RUC는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잔사유를 휘발유로 전환하는 설비다. 올레핀 다운스트림 콤플렉스에서는 프로필렌(Polypropylene)과 산화프로필렌(Propylene Oxide) 등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한다.

에쓰오일은 RUC를 일 7만6000배럴, ODC를 연산 70만5000톤 규모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루 2만1000배럴의 고품질 휘발유를 추가로 얻는 한편 연 40만5000톤의 프로필렌과 연 30만톤의 산화프로필렌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간 에쓰오일은 울산 해당 프로젝트에 특별히 신경을 기울여 왔다. 지난해 34년 만에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정유업계 전반의 업황이 불투명한 만큼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로 경쟁력을 키워 미래에 대비한다는 목표에서다.

알 마하셔 대표 역시 올 초 신년사에서 RUC·ODC 프로젝트에 역량을 집중해 줄 것을 임직원들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이에 지난 4월 이사회에서 실시설계를 결정했으며 7월 대림산업과 대우건설을 선정해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올해 안에 마무리 될 예정인 이번 작업에는 1290억원이 투입된다.

오는 2018년 6월 해당 설비가 준공된 후 본격적인 상업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25억달러 정도의 수출 증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특히 에쓰오일 입장에서는 프로필렌과 산화프로필렌 등을 새롭게 생산하면서 제품 포트폴리오가 확대되는 만큼 올레핀 하류부문으로 사업구조를 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폴리우레탄의 기초 원료로 쓰이는 산화프로필렌의 경우 국내에서는 SKC가 독보적인 위치에 있으며 나머지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프로필렌은 SK종합화학과 효성, 롯데케미칼 등 대부분의 화학 기업이 생산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에쓰오일이 관련 사업에 진출하게 되는 만큼 기존 업체들과의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업체들의 증설 등 요인으로 산화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의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만큼 판매처 확보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한편 에쓰오일 측은 “이번 투자를 통해 저가의 잔사유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함으로써 정유사업 수익성이 개선됨은 물론 사업구조를 다각화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상 투자수익률은 18.3%, 예상 투자 회수기간은 6년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재서 기자 sia0413@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