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보물 제525호와 보물 제723호로 지정된 ‘삼국사기’가 각각 국보로 지정 예고됐다. 지금까지 삼국사기 중에는 국보가 없었다.
보물 제525호 삼국사기는 경주 옥산서원에 있다. 고려시대에 새긴 목판과 조선 태조, 중종 7년(1512)에 각각 새롭게 만든 목판을 혼합해 선조 6년(1573)에 경주부에서 찍은 책이다.
또 다른 삼국사기 완질본(보물 제723호)은 옥산서원 삼국사기와 유사한 목판을 인출한 책이다. 조병순 성암고서박물관 관장이 작고할 때까지 성암고서박물관 소장품이었다. 조 관장이 2013년 작고한 뒤부터는 은행 금고에 보관돼 있다.
삼국사기는 김부식을 비롯한 고려시대 문신들이 지난 1145년께 편찬했다.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가장 오래된 역사서다. 신라·고구려·백제의 흥망과 변천이 상세하게 정리됐다.
현재 보물로 지정된 삼국사기는 모두 3건이다. 그 중 50권 9책을 갖춘 완질본은 2건이다. 국보로 지정 예고된 완질본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까지의 학술 동향과 인쇄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고(故) 파른 손보기 박사가 연세대학교에 기증한 보물 제1866호 ‘삼국유사’, 이른바 ‘삼국유사 파른본’도 국보로 지정 예고됐다.
삼국유사 파른본은 완질본은 아니다. 하지만 국보로 지정된 삼국유사보다 간행 시점이 이르고 빠진 장이 없는 완벽한 인출본이다.
파른본은 앞쪽의 왕력(간략한 연표)과 기이(고조선부터 후삼국까지의 간략한 역사 서술) 편이 잘 보존돼 있다. 기존 삼국유사에서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삼국유사는 일연 승려가 전국을 돌며 역사서·사찰 기록·금석문을 수집해 고조선부터 후삼국시대까지의 역사, 문화, 민속을 정리한 책이다. 파른본이 국보가 되면 국보 삼국유사는 모두 3건으로 늘어난다.
한편, 문화재청은 간송미술문화재단의 그림과 서첩, 인장 6건과 해인사 용탑선원에 있는 ‘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집’, 국립중앙박물관의 고려시대 ‘나전경함’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앞서 겸재 정선의 그림과 고려청자 여러 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이번에는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회화를 중심으로 지정 예고한 것이다.
김홍도의 작품으로는 선비가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보는 모습을 묘사한 ‘마상청앵도’, 중국 인물들에 얽힌 일화를 소재로 그린 ‘고사인물도’, 도교 신선을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한 ‘과로도기도’가 포함됐다.
신윤복이 여인의 전신상을 그린 작품인 ‘미인도’와 조선 후기 서예가 원교 이광사가 자신의 서예 이론서인 ‘서결’ 앞부분을 1764년 필사한 서첩도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아울러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음식을 담당한 관청인 사옹원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도장으로 관인 가운데 유일한 백자인 ‘백자 사옹원인’도 보물 지정을 앞두게 됐다.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cardi_ava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