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의 1 이상이 관피아, 내부·전문경영인 적어나이 60대에 서울대 졸업 다수···‘유리천장’여전자리 나눠먹는 그들만의 리그, 업무연관성 낮아
대선이 끝나면 관심을 끄는 것 중 하나가 공기업 인사다. 역대 정부 초기마다 공공기관장 인사를 놓고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공기업 수장 자리는 누구나 꿰차고 싶은 자리이다 보니 경쟁률 또한 심하며 채용 과정에서 뒷말이 무성하기도 발생하기도 했다. 선거 공신들을 챙겨야 하다보니 매정권마다 ‘보은인사’나 ‘낙하산 논란’에 휩싸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공기업을 지배하는 이들은 대체 누구일까? 과연 공기업 수장 자리는 알려진대로 ‘그들만의 리그’일까? 그들의 출신이나 과거 경력 등 선발 과정이 궁금해졌다. 이런 궁금증을 갖고 뉴스웨이는 역대 정부 초기에 임명된 주요 공기업 사장들의 나이, 출생지, 학력, 과거 경력 등 출신이력을 전수조사했다.
뉴스웨이가 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 초기에 임명된 주요 공기업 전 수장들을 전수조사 한 결과, 경상도에서 태어난 60대 남성 관료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 사장 중 3명 중 1명이 경상 지역 출신이였다. 출신 학교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순위로 나타났으며 정부 관료 출신과 공기업 내부 출신이 절반을 차지했다.
문재인 정부도 비슷했다.산업통산자원부, 국토해양부, 해양수산부 등의 산하 주요 공기업 31곳 수장들의 출신 내력을 살펴본 결과, 경상 지역 출생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전라 지역은 8명으로 많았다. 또 출신학교는 서울대는 7명, 연세대 5명, 고려대 4명, 성균관대 3명 등의 순이었다. 1951년에서 1965년 사이의 출생 자들로 대대수 60대 남성들이다.
과거 정부 관료 출신은 1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공기업 내부 출신은 6명, 타 공기업 출신 4명, 교수 4명, 정치인 3명, 기업인은 2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부 산하 공기업 16곳 중 절반인 8곳은 산업부 관료 출신이나 한국전력에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근혜 정부 초기 임명된 주요 공기업 31곳의 수장들은 경상 지역이 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경기 5명, 전라 4명, 충청 4명 순이었다. 학교는 서울대 출신은 7명, 고려대 4명, 연세대 3명, 한양대 3명, 성균관대 2명 순이었다. 관료 출신은 3명 중 1명 꼴인 11명으로 많았으며, 6명은 내부 출신,이었다. 그 외 타 공기업 출신 4명, 기업인 4명, 교수 3명, 정치인 2명 등이다. 특히 기업인 출신 중 한전KDN의 임수경 사장은 KT출신의 공기업 최초 여성CEO라는 점이 눈에 띈다.
이명박 정부 초기 24곳 공기업 사장들을 분석한 결과를 봐도 경상도 출신이 10명으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서울 경기권이 6명으로 뒤를 이었고 반면 전라 지역은 3명, 충청 2명, 강원 지역은 1명에 불과했다. 또 학교 역시 서울대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1940~1955년생 출신들로 당시 60대 남성들이 주를 이뤘다. 특이할 점은 다른 정부에 비해 기업인 출신이 10명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 반면 정부 관료 출신은 6명, 내부 출신은 2명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역대 공기업 수장들은 2명 중 1명 꼴로 경상도 지역이거나 서울대 출신, 정부 부처 관료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변하지 않는 건 경상도·서울대·관료·내부 출신의 60대 남성이라는 것이다.
상당수는 취임 기관과의 업무 연관성이 거의 없는 관료 출신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공기업 내부 출신이나 교수 보다는 대다수 관료 출신이 2배를 차지한다. 전문성을 고려하기보다는 보은인사 성격이 짙은 낙하산 인사라는 의미다.
정권 초마다 공기업 사장 인사를 두고 나오는 말은 낙하산 인사다. 공기업 낙하산 논란은 역대 정권마다 불거진 단골 메뉴다. 상당수는 대통령 당선에 일조한 대선 공신 ‘캠코더’이거나 관료 출신인 ‘관피아’로 채워지고 있다. 또 지연이나 학연 역시 상당수 작용하고 있다는 것도 엿볼 수 있다.
외부 인사는 ‘낙하산’ 논란에 휩쌓이는 반면 내부 인사는 정치적 연줄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공공기관에 거론되는 내부 출신 수장들은 학연·지연 등을 매개로 정권 실세와의 관계가 부각되고 있다. 외부 인사보다는 내부 인사가 오히려 더 정치적 연줄이 중요할 수 있는 것이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낙하산 인선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기관 직원들은 정부 부처 관료나 정치권 등 친정부 인사가 내려오는 것을 반기는 분위기라고 전해진다. 힘 있는 인사가 올수록 기관의 이익을 대변해 정부 측에 제대로 목소리를 낼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이왕 수장이 내려온다면 조금이라도 정부의 입김을 피할 수 있는 인사가 낫다”면서 “직원들 입장에서는 낙하산 인사라도 회사에 더 큰 실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분을 내심 기대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공공기관은 말 그대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부가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준 기관들이다. 따라서 이들 기관이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운영되느냐에 따라 국민 삶도 영향을 받는다. 공기업과 공기관의 수장 자리는 국민들의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돼 있는 만큼 전문 지식과 경영능력이 검증된 수장들이 임명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역대 정권마다 낙하산 인사를 지양한다고는 하지만 이미 공기업 임원들 인사는 자리 나눠 먹기로 변질된지 오래이다”면서 “공기관의 역할과 기능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