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42주년 맞아 ‘비전 2030’ 발표 ‘혁신안’ 이행도 올해 사실상 마무리 2030년엔 연간 1조원 이익 창출할것
3일 수출입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창립 42주년을 맞아 최고의 정책금융기능을 제공하는 수출신용기관(ECA)으로 도약하는 한편 기업에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은성수 행장은 “그간 추가 부실 방지와 쇄신을 위한 자구노력에 맞춰져 있던 은행의 경영목표를 질 높은 정책금융 서비스 제공으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향후 수출금융·대외경제협력기금·남북협력기금 등 수은의 세 파트가 삼위일체가 되어 최적의 금융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경제협력은행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먼저 수은은 국가경제와 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개도국 정부, 국제기구 등과의 네트워크를 십분 활용해 우리 기업에 적합한 해외사업개발에 직접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개도국 동반 성장과 우리 기업의 해외 수주를 적극 지원하고자 수출금융과 EDCF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맞춤형 금융패키지를 제공키로 했다.
또 수은은 대북 경제협력과 개발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도 수행한다. 남북협력기금 수탁기관으로서 쌓아온 대북 경제협력과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 지원 경험 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국제금융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대북경제 협력의 새 토대를 쌓을 계획이다.
안정적인 수익기반 확충 노력도 병행한다. 오는 2030년 200조원 수준의 여신잔액을 바탕으로 연간 1조원 가량의 이익을 창출하는 대외거래 전담 정책금융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아울러 수은은 2020년말까지 이행할 예정이던 조직관리자 10% 축소 일정을 올해로 당기는 등 ‘혁신안’을 연말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앞서 수은은 ‘리스크관리 강화’와 ‘경영투명성 제고’, ‘정책금융 기능제고’, ‘자구노력’ 등 총 23개 과제로 구성된 혁신안을 발표한 바 있다.
수은은 ‘리스크관리 강화’를 위해 업무계획 수립부터 여신심사, 사후관리 등 업무 전 과정에 대한 내‧외부 견제를 강화했다. 리스크관리위원회의 독립성과 위상을 강화하고 여신부서-심사평가단-여신감리실로 이어지는 ‘신용평가 3심제’를 도입해 부실여신 재발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했다.
이어 특정기업‧계열의 과다여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신용공여한도를 대폭 축소하는 방안도 하반기 중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이를 거치면 자기자본대비 동일인‧동일차주 여신한도가 각 60%와 80%에서 40%와 50%로 축소된다.
이밖에 ‘경영투명성 제고’를 위해선 비상임이사 비중을 확대해 수은 내부 인사만으로는 이사회 의결을 할 수 없도록 구조화했다. 내부통제 강화를 목적으로 준법감시인 제도를 도입했고 임직원의 구조조정기업 상근‧비상근직 재취업도 전면 금지했다. 연말까지 1개 본부를 축소하고 3개 출장소와 1개 지점을 폐쇄해 조직을 더욱 슬림화한다는 계획이다.
수은 관계자는 “그간 전 임직원이 혁신안 이행에 최선을 다한 결과 대대적인 조직 쇄신의 성과를 거뒀다”면서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지속적인 조직혁신 노력을 경주해 한국 수출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