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양통상’ 가는 허준홍, GS ‘4세 후계 경쟁’ 불씨 남겼나

‘삼양통상’ 가는 허준홍, GS ‘4세 후계 경쟁’ 불씨 남겼나

등록 2020.03.02 18:46

이세정

  기자

공유

작년 말 GS칼텍스 부사장서 자진 사퇴조만간 삼양통상 대표이사로 선임될 예정지주사 주식 10만주 매입, 4세 중 최다 보유최근 그룹 회장 변경···향후 승계전 포석 관측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GS그룹 장손인 허준홍 전 GS칼텍스 부사장이 ㈜GS 지분 0.11%를 추가로 사들였다. 시장에서는 허 전 부사장이 지난해 말 GS그룹을 떠났지만, 4세 후계 경쟁에서 완전히 발을 뺀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 나온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허 전 부사장은 지난달 27일과 28일 ㈜GS지분을 각각 4만1311주, 5만8689주 총 10만주를 매수했다. 이에 따라 지분율은 직전 2.09%에서 2.20%로 0.11%포인트 늘었다.

이 기간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도 33만5210주를 매입하며 지분율을 1.62%에서 1.98%로 0.36%포인트 확대했다. 하지만 4세 중 가장 많은 지주사 지분을 보유 중인 사람은 여전히 허 전 부사장이다.

허 전 부사장은 창업주 고(故) 허만정 선생 장남인 고 허정구 삼양통상 명예회장의 첫 손자이면서, 허 명예회장 장남 허삼각 삼양통상 회장의 장남으로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됐다. 특히 그룹 주력계열사인 GS칼텍스에서 약 15년간 일했고, 핵심보직인 윤활유사업본부장을 맡았다.

하지만 허 전 부사장은 지난해 12월 말 자진해서 GS칼텍스를 떠났고, 사실상 후계 경쟁에서 한 발 물러난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 허 전 부사장은 자신이 최대주주인 삼양통상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긴 뒤, 가업을 물려받을 예정이다. 삼양통상은 공정거래법상 GS그룹 계열로 속해있지만, 일찌감치 독립 경영을 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허 전 부사장의 이번 지분 매입으로 미뤄볼 때, GS 후계 경쟁에서 완전히 물러난 것이 아닐 수 있다고 추측한다. 지난해 말 허창수 전 GS 회장이 막냇동생인 허태수 회장에게 총수자리를 넘겨주면서 4세간 승계 경쟁은 잠잠해진 상태다.

허태수 회장이 60대 초반이고 허창수 전 회장이 물러날 당시 나이가 70대 초반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 후계자 지명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의 후계 경쟁은 큰 의미가 없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허 전 부사장 역시 이를 고려해 우선은 한 발 물러나 부친의 뒤를 잇고, 추후 승계 경쟁에 뛰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허 전 부사장은 이달 예정된 삼양통상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대표로 선임될 예정이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