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1차 비상경제회의가 종료된 뒤 기자들을 만나 “향후 국내외 경제상황, 지자체 차원의 노력, 국민 수용도 등에 따라 검토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재난기본소득 도입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리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지만 회의 후 정부 발표는 코로나19 피해를 본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에 대한 지원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50조원 규모의 금융대책이 발표됐다.
이후 ‘오늘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는 나오지 않았나’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토의에서는 취약계층 지원에 관한 얘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늘 토의는 안건 중심이었다. 그 안건은 (회의 후 발표된 대로) 긴급경제회의의 운영방안,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방안 등 3가지였다”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재난기본소득 관련 논의에 대해서는 “그 문제는 향후 국내외 경제 상황, 지자체 차원의 노력, 국민 수용도 등에 따라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전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언제까지 비상경제회의가 계속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가급적 이 회의를 많이 하지 않고 비상경제시국을 마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유민주 기자
youm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