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5년來 절반이 만기···52조 해외부동산 펀드 ‘경고등’

5년來 절반이 만기···52조 해외부동산 펀드 ‘경고등’

등록 2020.12.16 12:00

허지은

  기자

공유

금감원, 국내 해외부동산 펀드 666건 조사5년 이내 만기 도래 47.9%···내년 만기 비중도 8%코로나19 장기화 시 수익성 하락·엑시트 리스크 우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해외 부동산펀드 현황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설정된 해외 부동산 펀드(51조4000억원) 중 만기 5년 이내(24조6550억원) 비중은 47.9%로 나타났다. 평균 만기는 7.6년이다./자료=금융감독원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해외 부동산펀드 현황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설정된 해외 부동산 펀드(51조4000억원) 중 만기 5년 이내(24조6550억원) 비중은 47.9%로 나타났다. 평균 만기는 7.6년이다./자료=금융감독원

52조원 규모의 해외부동산 펀드 중 5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상품 비중이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백신 개발 등 경기 낙관론에 힘입어 해외 부동산 펀드에 뭉칫돈이 몰리는 가운데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장기화 시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해외 부동산펀드 현황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설정된 해외 부동산 펀드(51조4000억원) 중 만기 5년 이내(24조6550억원) 비중은 47.9%로 나타났다. 평균 만기는 7.6년이다.

만기 연도별로 보면 ▲2020년 이전 1조3266억원(2.6%) ▲2021년 이전 2조8099억원(5.5%) ▲2022년 이전 4조3198억원(8.4%) ▲2023년 이전 7조7580억원(15.1%) ▲2024년 이전 8조4408억원(16.4%) ▲2025년 이후 26조7945억원(52.1%) 등이다.

이번 현황 조사는 전체 해외 부동산 펀드 806건(56조5000억원) 중 91.2%에 해당하는 666건(51조4000억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사모펀드가 640건, 49조2000억원(95.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공모펀드는 26건, 2조3000억원(4.5%)로 집계됐다.

투자대상은 오피스빌딩이 27조4000억원(53.2%)으로 가장 많았다. 호텔·리조트(5조5000억원·10.7%), 복합단지·리테일(3조6558억원·7.1%), 창고·물류센터(2조8122억원·5.5%), 주택(1조8502억원·3.6%), 기타(4800억원·0.9%), 복수물건(9조7580억원·19%)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처는 미국이 21조7000억원(42.1%)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14조1000억원·27.4%), 아시아(3조4000억원·6.7%), 여러지역(10조8000억원·21%) 등으로 나타났다. 투자형태별로는 임대형 20조9650억원(40.7%), 대출형 17조8481억원(34.7%), 역외재간접 8조1926억원(15.9%) 등이었다.

투자대상은 오피스빌딩이 27조4000억원(53.2%)으로 가장 많았다./자료=금융감독원투자대상은 오피스빌딩이 27조4000억원(53.2%)으로 가장 많았다./자료=금융감독원

김명철 금감원 자산운용감독국 부국장은 “해외부동산 펀드의 경우 평균만기 7.6년의 장기투자로 단기 경기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나 유동성 리스크가 적다”면서도 “현재 일부 펀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부국장은 “실물 보유 시 임대료나 대출채권 보유 시 이자 연체 등이 발생하거나 매각여건이 악화돼 만기를 연장하는 일부 펀드들이 있다”며 “향후 경기회복 지연 시 펀드 수익성이 하락하고 엑시트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대출형 펀드는 중·후순위 비중이 커 신용위험 우려도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조사에 따르면 대출형 펀드 17조8000억원 중 중·후순위 비중이 60.3%(10조8000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금감원은 향후 해외 부동산을 포함한 대체투자펀드 잠재리스크 요인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 지난 10월부터 시행 중인 ‘대체투자펀드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을 자산운용사가 잘 따르고 있는지 자체 점검을 통해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허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