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계층은 근로소득, 상위계층은 사업소득 타격
정부가 2차 재난지원금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지원에 나서 하위 20%의 소득을 플러스(+)로 돌려놨지만 고용한파가 하위소득층에 더 큰 상처를 남겼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작년 4분기 중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2만6000원으로 2.7% 늘었다.
두 계층의 소득 증가율 격차를 가른 지점은 근로소득이다.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59만6000원)은 13.2% 급감했고 2분위 가구 역시 5.6%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가구(721만4000원)는 1.8%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는 취업자 감소 폭이 44만1000명으로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고용시장이 가장 나빴던 시기다. 소득 하위 가구 근로자의 일자리가 임시·일용직 등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보니 이들이 근로소득에서 큰 타격을 입었다.
사업소득은 반대 양상이 보였다. 1분위 가구(27만9000원)가 6.2% 증가한 반면 5분위 가구(182만7000원)는 8.9% 급감했다. 5분위의 사업소득이 이같이 급감한 것은 4분기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3분위와 4분위의 사업소득 역시 각각 5.7%, 5.1%씩 감소했다. 사업소득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부유한 계층이 더 큰 타격을 입은 것이다.
2차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도 소득 격차를 상대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했다. 1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은 54만3000원으로 17.1% 늘어 총소득을 증가로 반전시켰다.
5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도 26만9000원으로 11.7% 증가했다. 5분위 가구는 추석 연휴 여파로 사적이전 소득이 36.3% 증가했다.
가계의 지출은 1분위 가구가 월평균 188만5000원으로 1.4% 늘었다. 5분위 가구는 1.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비지출만 놓고 보면 1분위가 1.8% 증가하는 동안 5분위는 0.4% 줄였다.
소비지출 비중의 경우 1분위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23.4%), 주거·수도·광열(14.8%), 보건(12.9%) 순이다. 소득 5분위 가구는 교통(15.9%), 식료품·비주류음료(13.1%), 음식·숙박(12.6%) 순이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137만6000원으로 2.2% 증가했지만 매월 평균 24만4000원의 적자(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를 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789만5000원으로 2.3% 늘었다. 흑자액은 월평균 338만3000원에 달했다.
빈부 격차는 더 심화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악화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와 5분위 대비로 비교하는 지표다. 수치가 오르면 분배의 악화를, 수치가 내리면 분배의 개선을 뜻한다.
4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72배로,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4.72배 많다는 의미다. 전년 동기의 4.64배보다 0.08배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3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분배가 악화됐다는 의미다. 3분기 중 5분위 배율은 4.88배로 1년 전보다 0.22배 포인트 악화됐다.
정부 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시장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7.82배로 1년 전 6.89배보다 1배 포인트 가까이 벌어졌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joojoos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