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좀비 기업’ 역대 최대···기업 성장도 뒷걸음질

‘좀비 기업’ 역대 최대···기업 성장도 뒷걸음질

등록 2021.06.03 12:51

한재희

  기자

공유

100곳 중 35곳 벌어서 이자도 못내기업 매출액증가율 -3.2% 역대 최저삼성전자·SK하이닉스 빼면 더 떨어져수익성은 개선···″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

사진=박혜수 기자사진=박혜수 기자

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좀비 기업’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조사 대상의 34.5%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0곳 중 3곳 이상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는 뜻이다. 기업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도 역대 최대치로 감소했다.

이른바 K자형 성장으로 기업 양극화 모습도 뚜렷해졌다. 좀비 기업 증가와 함께 이자의 다섯 배를 버는 이자보상배율 500% 기업도 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업종 간 회복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 2만5871곳 중 34.5%가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이었다. 전년 31.0%과 비교하면 3.5%p(포인트) 증가했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면 전체 영업이익으로 대출이자 등 금융비용을 충당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한다. 이는 데이터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역대 최대 수치다. 직전 최고치는 2018년 31.3%이다.

500% 이상 기업 수도 함께 증가하며 양극화가 심화한 모습을 보였다. 500%이상 기업은 41.1%로 전년 40.9%에서 소폭 늘었다.

김대진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이자보상비율 100%미만 기업 비중 확대는 코로나 영향이 크다”며 “석유·화학·정제 대기업 등에서 영업적자 기업이 늘어나면서 비중이 확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자·영상·통신장비나 전기·가스 기업들이 흑자 전환하고 이익률이 좋아지면서 500% 기업 비중이 확대 된 것”이라며 “좋은 기업은 좋고 나쁜 기업은 나쁜 소위 K자형 성장이 보였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들도 엇갈렸다. 기업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을 보면 -3.2%로 역대최저치를 보였다. 직전 최저치는 2015년 기록한 -2.4%다. 제조업은 전년도 -2.3%에서 -3.6%로 악화됐다. 전자·영상·통신장비의 상승에도 석유정제·코크스, 화학물질·제품 등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하락하면서 제조업 전체 증가율을 끌어 내렸다. 비제조업 역시 0.8%에서 -2.6%로 하락했다.

특히 대기업의 경영 지표 악화가 두드러졌다. 대기업 매출액증가율이 -4.3% 감소했는데 이는 역대 최대 하락폭이다.

반도체 시장을 이끌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매출액증가율은 더 떨어진다. 이 두기업을 포함한 매출액증가율은 -3.2%지만 제외하면 -3.8%까지 하락한다. 매출액영업이익률 역시 포함했을 경우 5.1%지만 제외하면 4.6%로 조사됐다.

총자산증가율은 5.0%에서 4.9%로 전년보다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조업은 3.2%에서 4.8%로 뛰어 올랐지만 비제조업은 7.0%에서 5.0%로 하락했다.

반면 기업 수익성을 보여주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은 4.8%에서 5.1%로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4.1%에서 4.3%로 모두 상승했다.

매출액 감소불구하고 수익성 지표가 상승한 이유는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원자재값이 하락한 것이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된다. 원가 감소 영향으로 주요 업종에서 수익성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코로나19에도 수요가 지속적으로 있었던 전자·영상·통신장비에서 영업이익이 개선되며 전체 매출액영업이익률을 끌어올렸다.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은 97.6%에서 97.4%, 차입금의존도는 28.3%에서 28.2%로 소폭 하락하면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