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비전과 목표를 정의하고 10개 참여기관의 기술요소인 D-CPND(Data-Content·Platform·Network· Device)에 대한 분야별 융합기술 발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자리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마스터플랜 수립 ▲디자인싱킹 기반의 리빙랩 운영 ▲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 사업 관리(PMO)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우선 ‘시민체험 행정플랫폼’으로의 기본 계획과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현실세계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대 시민 서비스 실증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30명 이상의 시민참여단이 주도적으로 서비스를 발굴·기획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디자인 싱킹* 기반의 리빙 랩을 운영한다.
지방정부 최초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참여 기업의 이해를 높이고 XR메타버스 구축사업 촉진을 위한 정책·기술 자문단도 구성, 운영한다.
XR메타버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기술 자문단은 XR메타버스의 기술요소인 D+CPND 기술의 융·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기업간의 업무조율과 의사결정을 돕는다. 인천이음프로젝트 마스터플래너(MP)로는 김태형 단국대 교수가 위촉됐다.
안영규 행정부시장은 “이번 XR메타버스 마스터플랜사업을 통해 메타버스 분야의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고 가상융합기술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로드맵과 함께 기존의 시간․사람․공간에 대한 상식을 뛰어넘는 공공혁신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전략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디지털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5G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공모사업으로 지난 5월 인천시 컨소시엄이 선정되면서 지방정부 최초로 XR메타버스 구축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인천시는 XR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해 내년 말까지 국비 80억 원, 시비 26억3천만 원, 민간 32억 4천만 원으로 총 138억7천만 원을 투자하며 2023년에는 수행 평가 결과에 따라 국비를 추가로 지원받게 된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jsn0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