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비율 큰 폭 낮추고 순이익 흑자 전환자산 매각 통해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의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부채총액은 2조1240억원, 자본총액은 5959억원으로 부채비율은 356.4%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 559.5%보다 크게 개선된 수치다.
코오롱글로벌은 작년 순이익에서도 225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도 2786억원으로 전년(2553억원) 대비 9.1% 증가했다. 유동비율은 119.6%로 전년(104.0%) 대비 상당 수준 개선됐다.
이는 작년 11월 코오롱인더스트리에 서초 스포렉스 토지 및 건물을 4301억원에 양도하면서 발생한 유형자산처분이익 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자산 매각을 통한 빠른 유동성 확보 및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한 것이다.
앞서 코오롱글로벌은 전반적인 공사비의 증가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지난해 연결 기준 56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12년 이후 첫 영업 적자다.
이에 코오롱글로벌은 매출채권과 미수금 등 회수가 불확실한 자산에 대한 보수적인 손실을 빠르게 반영하고 PF 관련 자산에 대한 리스크에도 적극적으로 대비해 왔다. 회사가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자산에 대비해 설정하는 대손충당금도 전년(586억원) 대비 약 3배 증가한 1789억원을 확보 중이다.
중장기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수주 규모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 작년 건설부문 신규 수주액은 총 4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건축 부문 2조3000억원, 인프라 부문 1조9000억원이다. 전년 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난 규모로 2022년 기록한 역대 최고 수주액(3조6569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코오롱글로벌의 수주 잔고는 11조6589억원으로 이는 연간 매출 기준 약 4년치에 해당한다. 연간 매출도 2조9120억원으로 전년(2조6450억원) 대비 9.8% 늘었다.
여기에 대전 유성 '하늘채 하이에르', 울산 번영로 '하늘채 라크뷰' 등 PF 사업장 2곳은 분양률이 70%를 넘어 공사비 회수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회사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 주력 사업에 한해 선투자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 위험성이 높은 사업은 철저히 배제하고 있다"면서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내부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강점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3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