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5월 현장 노동자 3명 사망지난달 사망자는 기저질환 원인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랜드건설 시공 현장에서 최근 넉 달간 4명 사망
이 중 3건은 산업재해, 1건은 기저질환에 의한 사망으로 분류
고용노동부가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 중
4월 16일 서울 묵동 청년주택 공사장, 하청 몽골인 작업자 추락 사망
4월 26일 마곡노인종합복지관 공사 현장, 60대 노동자 철강재에 깔려 사망
5월 30일 대전 임대주택 현장, 60대 트레일러 기사 항타기 자재 낙하로 사망
열흘 뒤인 4월 26일에는 서울 강서구 마곡노인종합복지관 공사 현장에서는 60대 노동자가 크레인으로 철강재(데크플레이트)를 인양하던 중 철강재가 쏟아져 목숨을 잃었다.
또 5월 30일에는 이랜드건설이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서 진행 중인 임대주택 시공 현장에서 장비에 실려 있던 항타기 자재가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60대 트레일러 기사가 숨졌다.
4월부터 한 달 반 동안 발생한 총 3건의 이랜드건설 현장 사망사고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면밀하게 조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난달 21일, 앞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서울 묵동 현장에서 또다시 사망자가 발생했다. 다만 해당 작업자는 평소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고, 이날 첫 출근 후 현장 교육을 마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이랜드건설 관계자는 "지난달 사망한 노동자는 하청업체 소속 외국인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부검 결과, 평소 앓고 있던 기저질환에 따른 심근경색이 사망 원인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4월 첫 사고 사망자는 회사에서 파악되지 않은 인원을 하청업체가 투입해 작업하던 중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현재 조사 중"이라며 "당사 시공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에 대해 매우 송구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발 방지를 위해 외부 기관에 의뢰해 안전 검증을 받는 등 노력을 다하고 있고, 당국의 조사에도 성실히 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중대재해처벌법상 안전·보건조치 확보 의무 위반으로 사업장에서 노동자가 사망할 경우,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대상으로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이 동시에 부과될 수 있다. 또한 법인(회사)은 최대 50억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이랜드건설은 1992년 3월에 설립된 이랜드그룹 핵심 계열사다. 주거·상업·교육·문화·공장 등 각종 건축 및 토목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권한일 기자
kw@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