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15℃

인천 15℃

백령 15℃

춘천 15℃

강릉 15℃

청주 15℃

수원 15℃

안동 16℃

울릉도 16℃

독도 16℃

대전 16℃

전주 16℃

광주 16℃

목포 16℃

여수 16℃

대구 16℃

울산 16℃

창원 16℃

부산 16℃

제주 16℃

전문가 칼럼 훈풍 탄 조선업, 반등의 키는 '인력 확보'

전문가 칼럼 양승훈 양승훈의 테크와 손끝

훈풍 탄 조선업, 반등의 키는 '인력 확보'

등록 2025.10.20 13:41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10년 구조조정 끝 조선업 반등

미 해군 MRO 사업 등 신규 일감 유입

시장 분위기 변화로 회복세 뚜렷

자세히 읽기

한화오션, 미 해군 군함 MRO 사업 진행 중

미국 함정 정비하며 기술·지식 습득

향후 동맹국 군함 MRO·함정 수주 기대

숫자 읽기

장영실급 잠수함, 기존 대비 10% 이상 배수량 증가

캐나다 60조 원 잠수함 발주 예정

한국 조선업계, 독일·폴란드와 글로벌 경쟁

맥락 읽기

과거 상선·해양플랜트 위기와는 별개로 방산 분야 일감 급증

영연방·나토 등 신규 시장 진출 기회 확대

방산 출발 일감이 민간까지 확장 가능성

주목해야 할 것

생산역량 강화가 최대 과제

숙련 인력 부족·청년 생산직 기피 심화

수익성 회복 시 인력 확보로 체질 개선 필요

훈풍 탄 조선업, 반등의 키는 '인력 확보' 기사의 사진

10년 가까운 구조조정을 했던 조선업에 훈풍이 불고 있다. 훈풍의 출처는 일감이다. 우선 MASG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미 해군 MRO(유지·보수·운영) 사업이 한참이다. 최근 방문했던 거제 한화오션 옥포 조선소 야드(작업현장)에는 미국 군함이 들어왔다. 조선소는 지금까지 다뤄보지 못한 미국 함정을 뜯고 고치며 재정비하는 동안 미국 선박의 특성뿐만 아니라 미국 무기체계와 호환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느라 부산해졌다. 향후 미 해군뿐만 아니라 동맹국의 다양한 군함에 대한 MRO 사업을 수주할 수도 있고, 미 해군의 MRO뿐만 아니라 함정 수주도 가능하리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더불어 납축전지가 아닌 리튬이온전지를 활용하고, 배수량을 기존 안창호급(3000톤)에서 10% 이상 증량한 한국 해군의 장영실급(3600톤) 잠수함도 진수식을 앞두고 있다. 이 진수식에는 캐나다 마크 카니 총리도 참석 예정이라고 한다. 캐나다가 60조 원 규모의 잠수함을 발주할 예정이고 한국의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컨소시움이 이 수주전에 참가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독일 HDW(하데베)에서 기술을 배운 지 30년이 지나지 않아 이제 한국 조선업계는 독일의 강력한 경쟁자가 됐다. 독일 외에도 폴란드까지 사업 경쟁이 계획되어 있다.

미 해군 MRO, MASGA 프로젝트(미국 해군력 강화 프로젝트), 그리고 신형 잠수함 진수는 일반 선박(상선)의 불황, 해양플랜트 적자를 겪었던 10년 전 상황이 최근의 조선경기 회복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시장을 반등시킨 것과 별개로 기존 사업참여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던 곳에 기회가 열리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의 추세대로 시장을 개척하는 데 성공할 경우, 방위사업에서 출발한 일감의 확장이 줄 기회는 영연방 국가나 나토 가입국 등 무궁무진하다.

그럼에도 일감이 늘어날 기회가 있지만, 여전히 일감을 '잘 소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위협요소가 많다. 미국의 제조업이 리쇼어링 프로젝트를 함에도 생각만큼 생산역량을 빠르게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면, 한국의 제조업은 양질의 숙련인력 양성이 더디고 제조업에 대한 청년들의 기피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청년들은 생산직을 하는 건 감내할 수 있더라도 정규직을 희망하고, 회사는 숙련 인력을 더 저렴하게 하청으로 쓰려 한다. 이 딜레마를 조율하지 않으면, 일감의 폭발 속에 생산 문제는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수익성이 회복되고 사업확장의 기회가 있을 때 조선소들이 양질의 생산 인력 확보를 통해 생산역량을 안정시키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