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분기부터 순차 적용···쇼핑·검색에 자연스럽게 녹여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엔비디아 GPU 일정 논의 중네이버 AI 서비스 생각하면 GPU 10만장도 충분치 않아"

김범준 네이버 COO(최고운영책임자)는 6일 오후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팀네이버의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 세션 후 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 COO는 "네이버는 검색이 가장 대표적인 정체성이었다"라면서 "앞으로는 고객이 원하는 것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서비스로서 네이버의 정체성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쇼핑부터 검색, 광고 등 주요 서비스에 순차적으로 고도화된 AI인 '에이전트 N'를 본격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이날 밝혔다. 사용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지도·캘린더·예약·콘텐츠 등 서비스가 탐색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필요할 때 AI 에이전트가 제언하고 실행한다는 것이다.
내년 1분기에는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쇼핑 에이전트를, 또 2분기에는 통합검색이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진화한 'AI탭'을 각각 선보일 계획이다. 또 네이버 서비스 전부를 아우르는 에이전트 N은 내년 3분기에 적용할 예정이다.
김 COO는 해외 서비스 사업자와의 에이전트 서비스 차별점에 대해선 "구글이나 챗GPT의 경우 직접 쇼핑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며 "크롤링해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은 가능하지만, 적절한 시점에서 도와주는 것은 네이버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현재는 초창기 에이전트 AI로, 쓰면 쓸수록 결국은 사람들은 정말로 믿을 수 있는 지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할 것 같다"며 "네이버는 고객 보호를 위해서 움직여 온 모습들을 생각을 해보면 신뢰가 (다른 사업자들과) 큰 차이점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애초 연내 공개 예정이었던 쇼핑 AI 에이전트 출시가 내년 1분기로 지연된 것에 대해선 "아쉽게 생각한다"며 "네이버 서비스 전체에 적용되는 통합 에이전트로 설계를 바꾸며 연기됐다"고 말했다.
또 에이전트 AI의 해외 진출과 관련해서 김 COO는 "에이전트 N은 한국의 네이버에서만 보여지는 것이고, 현재 형태로 해외에 나갈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미국과 일본에서는 네이버웹툰이나 포쉬마크, 스페인 왈라팝 등에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포쉬마크와 왈라팝은 최근 네이버가 인수한 해외 플랫폼이다.
한편 이날 네이버는 국내 최대·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목표로 AI 생태계 경쟁력을 위한 데이터센터와 컴퓨팅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1조원 이상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네이버 제2사옥 1784와 각 세종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피지컬 AI 테스트베드를 본격 운영한다.
앞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로부터 6만장의 GPU를 공급받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추진할 방침을 세웠다.
이에 대해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는 GPU를 1년에 수만 장씩 사고 있었다"며 "엔비디아로부터 공급받기로 한 6만장에 대한 데이터센터 공간 확보 등에 대한 일정을 계획 중"이라고 했다.
이어 "해당 GPU는 하이퍼 클로바 X, 에이전트N 등 네이버 AI 서비스과 소버린 AI에 사용할 예정"이라며 "사실 GPU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10만장을 가지고도 충분하지 않을 것 같다고도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엔비디아와의 피지컬 AI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인프라 확충 등 기술적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소버린 AI 영역은 굉장히 많은 플레이어들의 협업이 필요한데, 네이버는 로봇 제조사와 엔비디아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