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4일 금요일

  • 서울 5℃

  • 인천 5℃

  • 백령 5℃

  • 춘천 3℃

  • 강릉 4℃

  • 청주 6℃

  • 수원 4℃

  • 안동 2℃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7℃

  • 전주 6℃

  • 광주 3℃

  • 목포 4℃

  • 여수 7℃

  • 대구 5℃

  • 울산 4℃

  • 창원 6℃

  • 부산 5℃

  • 제주 6℃

산업생산 검색결과

[총 29건 검색]

상세검색

5월 산업생산 0.8%↑·설비투자 13.0%↑···소비는 0.1%↓

5월 산업생산 0.8%↑·설비투자 13.0%↑···소비는 0.1%↓

5월 국내의 산업생산과 설비투자는 늘었으나 소비는 소폭 줄었다. 생산·소비·투자가 '트리플 감소'를 보였던 4월보다 지표가 좋아졌고, 경기선행지수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동반 상승하는 등 경기 회복세가 다시 이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 앞으로도 회복세가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30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5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1(2

홍남기 "경기 회복세 어렵게 이어져···오미크론에 내수회복 제약"

홍남기 "경기 회복세 어렵게 이어져···오미크론에 내수회복 제약"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산업 생산이 2개월 연속 둔화했으나 경기 회복세는 어렵게나마 이어지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통계청이 '2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 뒤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제조업 개선세가 지속됐으나 오미크론 확산, 우크라이나 사태를 비롯한 최근 대내외 리스크 확대 영향으로 전(全)산업생산(-0.2%)이 2개월 연속 소폭 감소하는 등 주요 지표가 전월보다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10월 생산 1.9%↓···1년 반만에 최대감소

10월 생산 1.9%↓···1년 반만에 최대감소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나란히 감소하면서 10월 전(全)산업생산이 전월보다 2% 가까이 줄어 1년 반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30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0.8(2015년=100)로 전월보다 1.9% 감소했다. 작년 4월(-2.0%)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전산업생산은 7월과 8월 각각 0.7%, 0.1% 줄었다가 9월에는 1.1%로 반등했는데 10월에는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제조업은 3.1% 줄어 7월 이후 넉 달째 감소세

2월 산업생산 2.1%↑···8개월만에 최대폭 증가

2월 산업생산 2.1%↑···8개월만에 최대폭 증가

지난달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늘어 전체 산업생산이 8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소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늘었던 가정 내 음·식료품 수요가 줄면서 3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2.1% 늘었다. 2020년 6월(3.9%)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작년 6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했던 산업생산은 1월(-0.6%) 감소로 돌아선 뒤 지난달

작년 산업생산 2000년來 첫 감소···12월엔 트리플 증가

작년 산업생산 2000년來 첫 감소···12월엔 트리플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난해 산업생산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뒷걸음쳤다. 다만 12월에는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는 ‘트리플 증가’를 보였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全)산업 생산(원지수, 농림어업 제외)은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0년 이후 첫 감소다. 제조업은 나아젔으나 서비스업은 부진했다. 제조업 생산은 0.5% 증가

10월 산업생산 0.0% 보합···소비·투자는 감소

10월 산업생산 0.0% 보합···소비·투자는 감소

10월 전(全)산업생산이 지난달과 변동 없는 보합을 나타냈다. 서비스업 생산이 늘었지만 제조업과 소비·투자가 부진해 회복 분위기를 상쇄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 대비 0.0%로 보합을 기록했다. 전산업생산은 8월 -0.8%에서 9월 2.2%로 반등했으나 10월 보합으로 다시 하락했다. 광공업 생산은 1.2% 감소했다. 이 중 제조업 생산은 1.3% 줄었다. 수출이 감소한 탓이다. 반도

2월 산업생산 3.5%↓···코로나19로 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2월 산업생산 3.5%↓···코로나19로 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달 국내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얼어붙었다. 산업생산과 소비가 ‘구제역 파동’이 있었던 2011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전(全)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3.5% 감소해 2011년 2월(-3.7%) 이후 9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광공업생산과 서비스업생산 모두 3%대 감소세를 보였다. 광공업생산은 전월보다 3.8

9월 산업생산 0.9% 증가···생산·소비·투자 일제히 성장

9월 산업생산 0.9% 증가···생산·소비·투자 일제히 성장

산업생산, 소비판매, 설비투자가 일제히 호조세를 보이며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이 2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9월 전체 산업생산의 전월대비 증가율은 0.9%였다. 산업생산, 소비, 설비투자 등 3가지 지표가 모두 증가한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이다. 생산 지표인 광공업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했다. 광공업생산은 전월보다 0.1% 늘었다. 자동차(3.8%), 기타운송장비(19.6%)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끌었

8월 산업생산 제자리걸음···소비·투자 감소

8월 산업생산 제자리걸음···소비·투자 감소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이 주춤한 모습이다. 광공업, 서비스업 등 생산 지표는 소폭 증가했지만, 소비·투자 지표는 하락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8월 전체 산업생산의 전월대비 증가율은 0%였다. 생산 지표인 광공업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했다. 광공업생산은 전월보다 0.4% 늘었다. 기타운송장비(-18.5%), 자동차(-4.0%)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 생산이 12.4% 늘며 전체 광공업생산의 증가세를 이끌었다. 제조업 평

7월 산업생산 1.2%↑···4개월 만에 반등

7월 산업생산 1.2%↑···4개월 만에 반등

7월 산업생산이 광공업·서비스업의 호조로 4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2% 늘었다. 지난 3월 1.3% 증가 이후 4개월만에 증가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보다 1.9% 증가했다. 올해 1월 2.8% 늘어난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자동차(6.5%), 전자부품(9.4%) 등에서 수출이 호조를 보여 생산이 늘어난 탓이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보다 0.8% 늘었고 제조업 재고율은 0.3%포인트 상승한 118.7%를 기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