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키 리졸브 훈련 전 이산상봉 행사를 성사시킨다는 우리 정부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통일부는 북한이 29일 오후 4시 판문점 연락관 채널 업무 마감 때까지 상봉 행사와 관련한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북한에 전통문을 보내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와 관련된 우리 제의에 북한이 조속히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정부는 판문점 채널을 통해 보낸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 통지문에서 “북측이 진정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하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가 제시한 상봉 일자 등 상봉 행사 개최에 대한 입장을 분명하게 밝혀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북측이 우리의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수용하고도 상봉행사 준비에 불분명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유감”이라며 “헤어진 가족들과 만남을 애타게 기다리는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고려해 북측이 우리측 요구에 조속히 호응해 나오기를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번 북한의 무대응으로 키 리졸브 연습 전인 다음달 중순 상봉 행사를 연다는 목표로 짜여진 정부의 추진 시간표에도 일정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정부는 애초 설 연휴 전인 29일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고 설 연휴 직후 금강산에 실무진을 보내 이산가족면회소와 금강산 호텔 등 관련 시설 상태를 점검할 계획이었다.
판문점 채널은 설 연휴 기간인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나흘간 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준비를 위한 남북 간 본격적인 협의는 내달 3일부터나 재개될 전망이다.
북한이 무대응으로 나서면서 일각에서는 상봉 행사시기를 늦추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북한으로서는 상봉 행사가 2월 말 이후에 열려야 상봉 분위기를 명분 삼아 한미 군사훈련 중단 압박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는 아직 다음달 중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성사가 가능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통일부는 “원래 하기로 했던 것과 4∼5일 차이가 나는데 큰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수요일 접촉이 다음주 초로 연기되어도 그 정도 시간은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행사 준비에) 2주 정도는 필요하다”며 “다음주 전반이 지나면 사실상 (17∼22일 개최가) 어렵게 될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김아연 기자 csdie@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csdi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