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통합 재건축 점져져1만5000가구 단지로 변모재건축 기대에 매맷값 상승
한강변을 따라 줄지어 들어선 압구정지구는 우리나라 최고 부촌 중 한 곳이다. 1980년대 서울 강남권 개발이 본격화하면서 인기 주거지역으로 떠오른 압구정동은 이후 20여 년간 자타공인 ‘강남 1번지’로 자리매김했다.
최근에는 강남 개포동→도곡동→서초 반포동에 1등 주거지의 명성을 넘겨 줬으나 ‘원조 부촌’으로서의 압구정의 명성은 여전하다.
앞서 압구정지구는 전임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에 따라 통합 개발을 추진됐다. 그러나 지난해 박원순 시장의 ‘한강변 관리기본계획’으로 기존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시는 압구정지구 재건축 기본계획을 수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지난 3월 압구정 아파트 안전진단이 모두 통과돼 재건축을 서둘러야 할 당위성도 생겼다. 시는 지난달 ‘아파트지구 관리 방안’에 따라 수립 중인 강남구 압구정지구 개발기본계획에 ‘사전경관계획’을 적용할 용역을 발주했다.
시는 압구정지구 경관계획 수립에 직접 나서 주도할 방침이다. 이는 시의 강력한 추진 의사를 방증한다. 경관계획은 주민이 직접 계획을 세워 제안하는 민간 제안 방식이 일방적이다.
압구정지구 재건축이 본궤도에 오르는 가장 큰 걸림돌은 따로 있다. 총 25개 단지 약 1만 가구에 달하는 압구정지구는 단지별 상황에 따라 추가 부담금 등 통합·개별 재건축에 대한 이해가 엇갈려 의견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대지지분이 클수록 추가 부담금이 적어지는 재건축 사업 특성상 더 넓은 면적의 아파트를 소유한 조합원이 작은 면적을 소유한 조합원보다 돈을 더 내야 할 수도 있는 셈이다.
이런 탓에 업계에서는 현재 4개로 나뉜 압구정지구 내 주구별로 통합 재건축을 하는 방안보다는 이해관계가 비슷한 단지끼리 묶는 소규모 통합 재건축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에선 아직 거래량이 급증한다거나 하는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으나 현장의 분위기는 일단 기대감으로 부풀어 있었다.
압구정역 인근 A 공인중개소 대표는 “시에서 재건축 방안을 조속히 마련한다면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 압구정 지구와 더불어 강남 재건축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압구정지구의 규모로 볼 때 통합 재건축이 이뤄지면 서울의 랜드마크로 부상함은 물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부촌이라는 과거의 명성도 되찾아 올 수 있을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대고등학교 인근 B공인중개소 대표는 “올해 초 미성1차 전용 105.65㎡의 매맷값은 10억6000만원에 거래됐으나 지난 3월 안전진단을 통과한 뒤인 5월에는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약 1억원 정도 호가가 붙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만 2008년과 비교해서 아직도 10~20% 정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복격적으로 사업 진행 속도가 붙으면 매맷값과 거래량도 자연히 늘어날 거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sd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