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맞춰 성인 24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은 22점 만점에 14.9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비슷한 조사를 벌인 OECD 14개 회원국과 비교할 때 독일(15.0점)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영국(14.1점)과 노르웨이(13.9점) 등 다른 나라들은 한국보다 뒤졌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한국인의 재무상황 관리 등 금융행위는 5.1점에 불과해 OECD 평균치(5.3점)에는 미치지 못했다. 금융태도 점수 역시 한국은 3.2점으로 OECD 평균치(3.3점)보다 낮았다.
금융지식은 대출 이자의 개념과 분산 투자 등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한 것이고 금융 행위는 소득과 지출 관리나 재무설계, 금융거래 등을 실제로 얼마나 잘하는지 평가한 것이며 금융태도는 저축이나 신용거래 성향 등 태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연령층별로 살펴보면 금융 이해력은 40대가 가장 뛰어났고 30대, 50~64세, 20대, 65세 이상 등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20대는 미래 대비 재무설계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편이었고 고령자는 복리계산 등 수리적 금융지식이 약했다. 지역별로는 시·도 지역보다는 군·읍·면 지역 거주자의 금융지식이 낮았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학교 금융교육을 내실화하고 다문화가족, 탈북민 등 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키로 했다.
정희채 기자 sfmks@

뉴스웨이 정희채 기자
sfmk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