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내 연구진, ‘얇고 휘어지는 리튬전지’ 개발

국내 연구진, ‘얇고 휘어지는 리튬전지’ 개발

등록 2015.08.11 16:16

이승재

  기자

공유

이상영 UNIST 교수, 착용형 기기 및 사물 인터넷 시대 앞당길 것

프린팅/광가교 공정을 이용해 유리컵 위에 하트 모양으로 제조한 전지. 사진=미래창조과학부 제공프린팅/광가교 공정을 이용해 유리컵 위에 하트 모양으로 제조한 전지. 사진=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어떠한 전자기기에나 원하는 모양으로 얇게 입힐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착용형 기기 및 사물인터넷 시대를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상영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팀이 이같은 내용의 논문을 나노과학 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프린팅 공정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지를 기기별 특성에 맞게 제작할 수 있는 ‘기기맞춤형 얇고 휘어지는 리튬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한 데 있다.

아울러 우수한 성능과 함께 빠르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실용성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현재의 노트북, 휴대폰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전지 공간이 필요 없어 착용형 기기 및 사물인터넷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도 미래 착용형 기기 작동용 전원으로 주목받는 ‘휘어지는 전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었다. 다만 어느 기기에나 원하는 디자인으로 접목이 가능한 개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교수는 “착용형 기기 및 사물 인터넷 시대를 여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였던 전원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며 “차세대 전자 기기들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지원하는 기초연구사업과 교육부의 BK21플러스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세종=이승재 기자 russa88@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