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부실기업 비중 전년대비 1.2%포인트 증가
지난해에만 부실기업 규모가 8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대 수준에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4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전체 53만개 기업 중 임대업 등을 제외한 26만개 업체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을 밑돈 기업 비율은 32.1%, 8만3460개였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갚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전년도 31.3%에서 1.2%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또 이자비용을 전혀 갚지 못한 기업도 8만여 곳 중 26.5%나 됐다. 이 역시 25.4%에서 1.1%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전체(53만개) 기업 기준 이자보상비율 수치는 전년(283.9%)에서 284.5%로 나아졌다. 이는 매출영업이익률은 떨어졌으나 대출 이자 등 금융비용부담률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들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32.2%로, 전년에 비해 0.7%포인트 올라갔다.
제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4.5%였던 것이 25.3%로, 비제조업도 37.4%로 전년에 비해 1.3%씩 각각 올라갔다.
중소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36.7%로 전년대비 3.2%포인트 상승한 반면 대기업은 30.8%를 기록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이 중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89.2%, 비제조업 185.6%로 전년도에 비해 소폭 개선됐다.
대기업의 부채비율의 경우 전년에 133.5%였으나 127%로 낮아졌고, 중소기업 역시 168.3%에서 161.4%로 개선됐다.
반면 매출액증가율은 종전 2.1%에서 1.3%로, 총자산증가율은 4.6%에서 4.3%로 떨어졌다.
여기에 유형자산증가율도 전년에 5.6%였던 것이 지난해 4.1%로 하락했다.이는 원·달러 환율 등이 최근 사이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종준 기자 junpark@

뉴스웨이 박종준 기자
junpar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